여행,식물,풍경/초본1105 우수(雨水)에 꽃망울 활짝~ 수선화 수선화 -수선화과- 지난 일요일인 2월 19일이 우수 절기였습니다. 우수가 지나면서 수선화는 그 향기와 더불어 꽃을 만발하게 피어 지나가는 상춘객을 붙잡고 있습니다. 수선화는 원래 물을 좋아한다는 의미에서 '水仙'이라는 이름을 얻었고 서양에서는 물에 비친 자신의 모습에 반해 물에 빠져 죽었다는 미남 나르시스의 이야기가 수선화와 엮어 회자되곤 하는 식물입니다. 조선시대에는 이 수선화가 아주 귀한 식물로 여겨 북경에 다녀오는 인편에 부탁하여 구근을 얻거나 꽃을 얻어 키웠다고 합니다. 1840년 추사 김정희가 제주에 유배되어 이 수선화를 보고는, "수선화는 과연 천하에 큰 구경거리다. 정월 그믐께부터 2월 초에 피어 3월에 이르러는 산과 들, 밭둑 사이가 흰 구름이 질펀하게 깔려 있는 듯, 흰 눈이 광대하게 .. 2023. 2. 21. 봄비에 피어난 변산바람꽃 (녹화) Eranthis byunsanensis -미나리아재비과- 속명인 Eranthis은 봄꽃 byunsanensis는 처음 발견지인 변산반도 변산바람꽃을 주말에 담아 왔는데 오늘은 녹화를 만나 보겠습니다. **변이 : 같은 종류의 개체 사이에서 형질이 달라짐,따라서 기본종의 색깔과 모양이 다른 형질을 가진 개체. 변산바람꽃은 기본종으로 꽃받침이 5장이 주종을 이루고 깔때기 모양의 퇴화된 꽃잎이 노란색을 띠고 있는 것이 보통입니다. 그러나 이 녹화는 전체적으로 녹색을 띠고 있어 '변산바람꽃 녹화'라고 별칭이 붙었습니다. 식물학적 변이의 생성은 1)환경의 변화가 유전물질에 영향을 주어 변이가 생겨나고, 2)기온,땅의 온도인 지온,강수량과 수온 등의 온도의 영향, 3)영양분의 영향, 4)일조량 및 기타 화학적 반응.. 2023. 2. 20. 봄이 오는 소리~ 큰개불알풀 큰개불알풀 -현삼과- 아직도 차가운 기운이 도는 겨울이지만 우리 주변을 살펴보면 봄소식을 알려 주려는 듯 작은 꽃이 피어있는 식물을 만날 수 있는데 우리 주변에서 흔히 만날 수 있는 큰개불알풀이라는 식물입니다. 우리가 흔히 가장 많이 볼 수 있는 개불알풀속의 식물이 바로 이 큰개불알풀입니다. 이름이 조금 상스러워 이름에서 오는 불편함 때문에 '봄까치꽃'으로 부르기도 하지만 표준식물명은 아직 이렇게 불리고 있습니다. 이 열매가 달리면 열매 모양이 개의 수컷의 생식기를 닮아 있기 때문에 붙여진 이름이라고 알려져 있습니다. 열매를 따로 담아 그 특징을 살펴 보려고 담아 놓은 사진이 있는데 줄기와 잎, 열매에 많은 털이 있습니다. 우리와는 다르게 서양인들은 꽃이 피었을 때 보이는 수술 2개가 꼭 눈처럼 보인다고.. 2023. 2. 17. 봄비에 봄소식~ 새끼노루귀 새끼노루귀 -미나리아재비과- 오늘은 눈과 얼음을 뚫고 나온다고 하여 일명 '파설초'라 불리는 새끼노루귀를 올해 처음 만났습니다. 지난 주말 중산간에서 만난 새끼노루귀는 앙증맞게 봄을 기다리고 있었습니다. 노루귀속의 속명인 Hepatica는 Hepaticus(간장,肝腸)의 라틴어라고 하는데, 잎이 갈라진 모습이 장기의 간장과 비슷하다는데 유래되었다고 합니다. 새끼노루귀의 이름과 관련하여 뽀송뽀송한 긴 털을 입고 잎이 올라올때 말려서 올라오는 모습이 마치 새끼노루의 귀를 연상한다고 하여 붙여진 이름입니다. 우리나라에 분포하는 노루귀 종류는 노루귀를 비롯하여 울릉도에서 자생한다는 섬노루귀와 이 새끼노루귀가 있습니다. 여기서 새끼노루귀 꽃의 구조를 알아 볼까요? 새끼노루귀의 꽃을 보면 꽃잎으로 보이는 것이 꽃받.. 2023. 2. 16. 봄바람에 활짝 핀~ 수선화 수선화 -수선화과- 일전에 포스팅했던 수선화를 다시 찾아 가 보았습니다. 수선화는 원래 물을 좋아한다는 의미에서 '水仙'이라는 이름을 얻었고 서양에서는 물에 비친 자신의 모습에 반해 물에 빠져 죽었다는 미남 나르시스의 이야기가 수선화와 엮어 회자되곤 하는 식물입니다. 조선시대에는 이 수선화가 아주 귀한 식물로 여겨 북경에 다녀오는 인편에 부탁하여 구근을 얻거나 꽃을 얻어 키웠다고 합니다. 1840년 추사 김정희가 제주에 유배되어 이 수선화를 보고는, "수선화는 과연 천하에 큰 구경거리다. 정월 그믐께부터 2월 초에 피어 3월에 이르러는 산과 들, 밭둑 사이가 흰 구름이 질펀하게 깔려 있는 듯, 흰 눈이 광대하게 쌓여 있는 듯하다." 라고 표현하기도 하였습니다. 예부터 제주에서는 이 수선화의 알뿌리를 말이.. 2023. 2. 15. 봄의 전령사~ 세복수초 세복수초 -미나리아재비과- 제주에서 피어나는 복수초는 잎이 가늘다고 하여 붙여진 세복수초입니다. 2주 전에 만난 세복수초는 잔설속에서 몇 개체만이 피어 있었는데 지난 주에는 봄을 알리려는 듯 제법 많이 개화를 하고 있었습니다. 미나리아재비과(科)에 속하는 복수초의 속(屬)명은 Adonis 인데요. 아도니스는 그리스신화에 나오는 미소년인데 아름다움의 상징인 아프로디테 여신의 사랑을 듬뿍 받았으나, 사냥을 나가 멧돼지에게 물려 죽고 말지요.아도니스의 상처에서 흐른 붉은 피는 복수초 꽃이 되었다고 합니다. 일본에서는 이 복수초를 フクジュソウ(후쿠쥬소)라고 부르고,중국에서는 측금잔화(側金盞花)라고 합니다. 설날 즈음에 핀다고 하여 원일초(元日草),눈속에서 피는 연꽃 같다고 하여 설연화(雪蓮花)라는 이름도 가지고.. 2023. 2. 14. 이전 1 ··· 32 33 34 35 36 37 38 ··· 18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