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여행,식물,풍경/초본1105

'개구리'가 들어간 식물~ 개구리발톱 개구리발톱 -미나리아재비과- 봄이 오면 가장 빨리 꽃을 피우는 식물은 어떤 것이 있을까요? 초본류에서는 대표적으로 흰털괭이눈, 세복수초, 변산바람꽃 등이 있고 목본류에서는 제주백서향, 길마가지나무, 새덕이 등이 있는데 오늘은 남부지방에서 흔히 볼 수 있는 미나리아재비과의 개구리발톱을 소개해 드립니다. 그런데 왜 이름이 '개구리발톱'이 되었을까요? 개구리발톱이라는 이름과 관련하여 여러가지 이야기가 있습니다. 이 식물의 서식지에 개구리가 많이 살고 있어 이름이 생겼다고 하는 이야기, 잎과 열매의 모양을 개구리의 물갈퀴에 비유해서 붙여졌다는 이야기가 있습니다. 제주도와 남부지방에 서식하는 이 개구리발톱은 생약명으로는 '천계'라고 하며, 개구리망, 천계자, 뇌환초, 소오두, 자배천계라는 별칭도 가지고 있는데 도.. 2023. 3. 18.
노란 별을 닮은 야생화~ 중의무릇 중의무릇 -백합과- 오늘은 일전에도 포스팅을 했던 봄소식을 전해 온 중의무릇을 만나 보겠습니다. 서양에서는 중의무릇을 ‘베들레헴의 노란별’이라 부른다고 하는데요. 에서 '동방에서 온 박사들'을 예수 그리스도가 태어난 곳으로 인도했다는 천체의 현상을 말하는데,이 중의무릇이 그 별에 비유한 것으로 보입니다. 중의무릇의 학명 Gagea lutea의 ‘lutea’는 황색이라고 합니다. 노란 꽃을 가진 식물이라는 뜻이라는 설명입니다. '중의무릇'의 무릇이라는 이름은 물웃의 옛말로 ‘물’은 물(水)이고 ‘웃’은 위 또는 가장자리라는 뜻이라고 합니다. 즉 무릇은 ‘물기가 많은 곳이나 가장자리에 피는 꽃’이라는 뜻인데 이제는 많은 개체수가 피어나 봄날을 맞이하고 있었습니다. 또 하나의 유래는 사찰에서는 향이 강하고 양.. 2023. 3. 17.
분홍색을 가진 새끼노루귀 새끼노루귀 -미나리아재비과- 숲속을 찾아가 보니 봄이 오는 소리가 여기저기 들립니다. 흰색을 가진 노루귀가 주종을 이루고 있지만 제주에서는 분홍색을 가진 새끼노루귀를 만날 수 있는데 지금이 적기인 듯 싶습니다. 노루귀속의 속명인 Hepatica는 Hepaticus(간장,肝腸)의 라틴어라고 하는데, 잎이 갈라진 모습이 장기의 간장과 비슷하다는데 유래되었다고 합니다. 여기서 새끼노루귀 꽃의 구조를 알아 볼까요? 새끼노루귀의 꽃을 보면 꽃잎으로 보이는 것이 꽃받침입니다. 식물의 꽃이 구성되기 위한 요소로는 크게 네 가지인 암술, 수술, 꽃잎, 꽃받침으로 나뉘는데 이때 네 가지 요소를 모두 가지고 있는 꽃을 갖춘꽃이라고 하고 네 가지 구성요소 중 한 가지 이상을 갖추지 못한 꽃을 안갖춘꽃이라고 합니다. 즉,새끼.. 2023. 3. 16.
노란 꽃망울의 개구리갓 개구리갓 -미나리아재비과- 오늘은 봄을 알리는 야생화인 개구리갓으로 하루를 열어 봅니다. 이 개구리갓의 분포지를 도감에서는 설악산 및 한라산으로 되어 있으나 제주의 일부 얕은 오름이나 물기가 있는 밭에도 보이는 식물로 미나리아재비와 흡사하여 좀미나리아재비로 불리는 식물입니다. 우리가 식물의 특성을 동물의 이름과 연관하여 지어진 식물이 바로 이 개구리갓이라 할 수 있는데요. '개구리'가 들어간 식물이 여럿 있습니다. 봄에 피어나는 이 개구리갓을 비롯하여 개구리발톱,개구리자리,개구리미나리,개구리밥 등이 있습니다. 이 개구리가 들어간 것은 개구리가 잘 자라는 곳에 이 식물이 자라는 특성으로 붙여진 것이라고 합니다. 또다른 해석으로는 개구리가 들어간 식물들의 잎을 살펴 보면, 잎이 개구리의 물갈퀴를 많이 닮아 .. 2023. 3. 15.
봄소식에 꽃을 피운~ 꿩의바람꽃 꿩의바람꽃 -미나리아재비과- 꿩의바람꽃은 마른 낙엽을 뚫고 꽃대를 올릴 때 모습이 꽃봉오리는 오무려 있고 잎은 돌돌 말려 있어 마치 그 모양이 꿩의 발을 닮은 데서 연유하여 꿩의바람꽃이라는 이름을 가졌다고 하는 꿩의바람꽃이 변산바람꽃의 자리를 대신하고 있습니다. 조선식물향명집의 주해서인 에서는 꿩의바람꽃이라는 이름은 땅속줄기에서 나온 잎이나 꽃받침 등의 모양이 꿩의 발을 닮았다는 뜻에서, 또는 꿩이 서식하는 산 숲속에서 자라는 바람꽃이라는 뜻에서 붙여진 것으로 추정된다고 설명하고 있습니다. 바람꽃을 기본으로 하고 식물의 서식지 또는 형태적 특징에 착안한 '꿩의'를 추가해 이름을 지었다는 설명입니다. 우리나라의 식물중에 이 '꿩'이 들어간 식물들이 몇 있습니다. 예를 들어 보면 '꿩의다리','뀡의밥','꿩.. 2023. 3. 14.
봄을 알리는 개복수초 개복수초 -미나리아재비과- 오늘은 복수초의 한 종인 개복수초 이야기로 하루를 열어 보겠습니다. 먼저 이 개복수초는 가지복수초와 통합이 되면서 동일한 식물로 알고 있었습니다. 지금은 정리가 되어 복수초의 종류를 복수초, 개복수초, 세복수초 정도로 구별을 하고 있습니다. 2016년 3월의 식물분류학회지에 따르면, 복수초속의 염기 서열을 통해 확인한 논문에 의하면 가지복수초는 일본고유종이고 개복수초와는 동일종이 아니라고 발표를 하였습니다. 국가식물표준목록을 보면 우리나라에 자생하는 복수초의 정리를 복수초,개복수초,세복수초, 털복수초 등으로 구별을 하고 있습니다. 개복수초와 세복수초 모두 꽃받침은 5장으로 꽃잎보다 짧지만 형태적으로 볼때 조금 다른 모습을 하고 있습니다. 이남숙 교수는 '한국산 복수초속의 행태분.. 2023. 3.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