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복수초 < Adonis pseudoamuurensis W.T.Wang>
-미나리아재비과-
오늘은 복수초의 한 종인 개복수초 이야기로 하루를 열어 보겠습니다.
먼저 이 개복수초는 가지복수초와 통합이 되면서 동일한 식물로 알고 있었습니다.
지금은 정리가 되어 복수초의 종류를 복수초, 개복수초, 세복수초 정도로 구별을 하고 있습니다.
![](https://blog.kakaocdn.net/dn/kI1yQ/btr3boKoRT6/ixQgC65ZVUKi9kDlhWIdzk/img.jpg)
2016년 3월의 식물분류학회지<46권 1호>에 따르면,
복수초속의 염기 서열을 통해 확인한 논문에 의하면 가지복수초는 일본고유종이고
개복수초와는 동일종이 아니라고 발표를 하였습니다.
![](https://blog.kakaocdn.net/dn/bvFrnW/btr3bZcAsoC/DNbROoknYeY4ExK7hfX1ZK/img.jpg)
국가식물표준목록을 보면 우리나라에 자생하는 복수초의 정리를
복수초,개복수초,세복수초, 털복수초 등으로 구별을 하고 있습니다.
개복수초와 세복수초 모두 꽃받침은 5장으로 꽃잎보다 짧지만
형태적으로 볼때 조금 다른 모습을 하고 있습니다.
![](https://blog.kakaocdn.net/dn/sjqqK/btr3boRa1hK/mNNhiq3r1pWBIZ5AtaA7z0/img.jpg)
이남숙 교수는 '한국산 복수초속의 행태분류학적 재검토<2003>에서
복수초,개복수초,세복수초로 정리를 하고 있습니다.
![](https://blog.kakaocdn.net/dn/cLITz3/btr3cC2xxDd/GZt5qvPRJa2mpOw3SqZBGk/img.jpg)
제주에서 자라는 복수초는 세복수초라는 것에는 대부분 공감을 하고 있는 것 같습니다.
다만, 최근 남도나 부산 등지에서도 세복수초가 발견되었다는 기사가 있었습니다.
이 개복수초는 제주의 자생이 아니라 숲을 조성하면서 육지의 씨앗이 들어와 터를 만든 것으로 추정을 하고 있습니다.
![](https://blog.kakaocdn.net/dn/bunLtT/btr22NLRgtF/xYIOd0i1IfacjUMSBTDS1k/img.jpg)
세복수초는 잎과 꽃이 같이 나오면서 줄기가 녹색인 반면,
이 개복수초는 꽃이 먼저 피며 줄기가 갈색인 점이 특징입니다.
![](https://blog.kakaocdn.net/dn/rDYT8/btr24jDR5Df/5kU7ES9qjdtyYJ4GRkbL1k/img.jpg)
개복수초로 열어 보는 토요일 아침입니다.
복와 부를 상징하는 복수초~
복수초의 꽃말이 '영원한 행복'이라고 합니다.
오늘도 복 많이 받고 부를 누리는 하루 되세요.~
![](https://blog.kakaocdn.net/dn/cPbG1k/btr24jDS6Fk/ZiemmlIEv895hHoBZwNKYk/img.jpg)
'여행,식물,풍경 > 초본' 카테고리의 다른 글
노란 꽃망울의 개구리갓 (4) | 2023.03.15 |
---|---|
봄소식에 꽃을 피운~ 꿩의바람꽃 (4) | 2023.03.14 |
번식력이 강한 귀화식물~ 애기석잠풀 (6) | 2023.03.10 |
번식력이 강한 귀화식물~ 둥근빗살현호색 (5) | 2023.03.08 |
봄처녀의 봄마중~ 산자고 (5) | 2023.03.0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