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행,식물,풍경/바닷가의 식물80 찰라의 기록~ 해국 해국 Aster spathulifolius Maxim.>-국화과- 오늘은 일전에도 포스팅을 하였던 바닷가의 가을 야생화인 해국을 만나 봅니다.바닷가에서 자라는 국화란 뜻의 이 해국은 바닷가가 고향이라서 다른 이름으로 해변국이란 별칭이 있습니다.무지개가 5분 정도 떠 있던 찰라의 기록입니다. 바닷가의 바위틈에서 자라는 이유로 '바다국화','해변국'으로도 불리는데,줄기가 목질화되어 있다가 인고의 세월을 거쳐 다시 피어나는 여러해살이풀이랍니다.이 모습을 담고 있는데 머리를 들어보니 무지개가 떠 있었습니다. 토양도 적고 바위 틈새에서 어찌 살아가는지 생명력이 대단한 아이랍니다.제주에서는 10월 중순부터 피기 시작하여 추워지는 11월 말까지 볼 수 있는 야생화인데 연한 자주색 내지 보라색 꽃을 피우.. 2024. 11. 27. 바닷가의 가을 야생화 4~ 갯사상자 갯사상자 Cnidium japonicum Miq. >-산형과- 바닷가가 아닌 들과 산에는 감국, 산국 등이 피어나고 바닷가 근처에는 해국과 함께 오늘 소개해 드릴 갯사상자도 피어나는데 제주의 바닷가를 나가 보면갯질경,갯쇠보리,갯하늘지기 등'갯'이 들어간 식물들을 많이 만날 수 있습니다. 사상자를 닮았고, 갯가에 핀다고 해서 갯사상자라고 명명이 되었습니다.사상자(蛇床子)라는 이름은 뱀이 눕는 침대나 의자를 말한다고 하는데, 사상자라는 이름을 가진 식물 중, 긴사상자가 제일 먼저 피어나고,개사상자,여름에 사상자 등이 피어납니다. 주해서인 한국 식물 이름의 유래에서 사상자의 이름 유래와 관련하여'사상자라는 이름은 한자명 사상자(蛇床子)에서 비롯하였으며,이 식물이 자라는 곳에서 뱀이 우글거리고 뱀이 .. 2024. 11. 8. 바닷가의 가을 야생화 3~ 갯개미취 갯개미취 Aster tripolium L.>-국화과- 오늘은 갯개미취를 만나 보겠습니다.바닷가나 육지의 갯벌 근처에서 많이 자라는 갯개미취입니다.제주에는 이 갯개미취가 바닷가에서도 자라고 바닷물과 민물이 만나는 곳에서도 자라고 있습니다. 가지가 많이 갈라지고 털이 없으며 꽃이 자주색이 주종을 이루나 흰색의 갯개미취도 있습니다.제주에서는 민물과 바닷물이 만나는 지역에서 잘 자라는데,육지에서는 갯벌이나 간척지의 습한 곳에서 잘 자라는 특성을 가지고 있습니다. 바닷가나 갯벌에서 자라는 특성 때문에 '갯'이 붙어 갯개미취라는 이름을 얻었습니다.중세 유럽에서는 전쟁에 나가는 남편을 위해 이 갯개미취꽃으로 만든 목걸이를 걸어 주었다고 합니다. 반면, 개미취는 산이나 들에 자라면서 크기가 상당히 큰.. 2024. 11. 7. 바닷가의 가을 야생화 2~ 갯고들빼기 갯고들빼기 Crepidiastrum lanceolatum (Houtt.) Nakai>-국화과- 바닷가에서 자란다고 하여 "갯"자가 붙어 갯고들빼기로 불리는 식물로 하루를 열어 보겠습니다. 우리나라 남부 해안 지역에 자라는 식물로 10~11월에 원줄기와 가지 끝에서 노란 꽃망울이 피어 납니다. 고들빼기라는 식물도 상당히 많은데,고들빼기의 이름은 19세기 초에 맛이 쓰다는한자어 고채로 기록된 것이 20세기에 '고들 ㅅ 백이'로 기록되면서아주 쓴 뿌리나물이라는 의미를 담고 있습니다.쓴 맛을 내는 성질은 식물체속의 이눌린 성분 때문이라고 합니다. 바다를 향한 그리움은 해국만 있는 것이 아니라는 듯 바다를 향해 갯고들빼기가 가을날 서정을 노래하고 있습니다. 갯고들빼기와 비슷한 식물인 이고들빼기도 있.. 2024. 11. 6. 바닷가의 가을 야생화 1~ 해국 해국 Aster spathulifolius Maxim.>-국화과- 오늘은 바닷가의 가을 야생화인 해국으로 하루를 열어 보겠습니다.바닷가에서 자라는 국화란 뜻의 이 해국은 바닷가가 고향이라서 다른 이름으로 해변국이란 별칭이 있습니다.해국을 담을때면 벌써 한 해가 지나가는구나라는 생각을 하게 되곤 합니다. 해국의 특징은 겨울에도 윗부분의 잎은 고사하지 않고남아 있는 반상록 상태를 유지합니다. 잎은 풍성하게 많으며 끈적거리는 감이 있어서 여름철에는 벌레나곤충이 많이 찾아오는 특징이 있습니다. 토양도 적고 바위 틈새에서 어찌 살아가는지 생명력이 대단한 것 같습니다.제주에서는 10월 중순부터 피기 시작하여 추워지는 11월 말까지 볼 수 있는 야생화인데연한 자주색 내지 보라색 꽃을 피우며 쑥부쟁이.. 2024. 11. 5. 제주 바닷가의 터줏대감~ 갯대추 갯대추 Paliurus ramosissimus (Lour.) Poir.>-갈매나무과- 오늘은 대추나무와 비슷한 꽃을 피운다고 알려져 있는 이 갯대추를 만나 보겠습니다.바닷가에 인접해 자라는 낙엽 관목인데 시월이 되면서특이한 열매를 달고 있는데 그 모습을 먼저 보시겠습니다. 국가식물표준목록에서는 갯대추나무로 국립생물자원관에서는 나무를 뺀 갯대추로사용하고 있고 일부 도감에서는 이 갯대추를 양성화로 소개하고 있는데 이 갯대추는 사진에서 보시는 바와 같이 암수한그루입니다. 양성화와 암수한그루가 무슨 뜻일까?식물의 꽃은 자손을 퍼뜨리기 위해서 존재하는 생식기관입니다.그 중에서도 실제로 생식을 수행하는 부분은 바로 암술과 수술입니다.식물의 꽃 중에 암술과 수술이 한 꽃 안에 있는 것을 양성화라고 하는.. 2024. 10. 28. 이전 1 2 3 4 ··· 1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