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의 야생화1474 숲속의 한라감자난초~ 한라감자난초 <Diplolabellum coreanum Maekawa> -난초과- 오늘은 한라감자난초를 만나 보시겠는데요. 감자난초라 불리는 이유는 뿌리와 줄기 사이의 헛비늘줄기가 감자처럼 생긴데서 유래하고, 제주에서 자생한다는 의미로 '한라감자난초'라는 이름이 지어진 아이랍니다. 작은 입술 모양의 .. 2016. 6. 29. 참나리 이야기~ 참나리 <Lilium lancifolium Thunb.> -백합과- **"나리"를 검색해 보면,1)저보다 신분이나 지위가 높은 사람을 불러 이르는 말 2)백합과에 속한 여러해살이풀 로 나와 있습니다. 참나리라는 이름의 유래가 재미있습니다.물론 정설은 아닙니다. 조선시대 고관대작을 이르는 '나으리'의 줄임말인 .. 2016. 6. 28. 하얀꽃을 피운 실꽃풀~ 실꽃풀 <Chionographis japonica Maxim.> -백합과- 오늘은 제주에서만 자생한다는 실꽃풀을 만나 보겠습니다. 속명에서 희랍어의 "Chion(눈)"과 "graphe(붓)"의 합성어로서 눈처럼 흰 꽃이 핀다는 뜻이라고 합니다. 정말 이름처럼 가느다란 실꽃이 올라와 피어 있지요. 하얀 꽃망울이 이쁜 아이랍니.. 2016. 6. 27. 제비이름을 딴 제비난초~ 제비난초 <Platanthera freynii Kraenzl> -난초과- 육지에서 담아 온 야생화를 소개하고 있는데 마지막으로 오늘은 제비난초를 올려 드립니다. 우리나라 전국 각처의 깊은 숲속에서 자생하는 난초과의 여러해살이풀입니다. 같은 속의 난초과 식물로 흰꽃이 피는 갈매기난초와 흰제비란이 있.. 2016. 6. 19. 청초한 모습의 산작약~ 산작약 < Paeonia obovata Max> -미나리아재비과- 육지에서 담아 온 야생화들을 포스팅하고 있는데 오늘은 산작약을 소개해 드립니다. 제주에서는 백작약이 자생하고 있는데 이 산작약은 깊은 숲 속에서 피어나고 있었는데요. 산작약의 속명인 Paeonia는 그리이스 신화에서 이 식물을 처음으.. 2016. 6. 18. '영웅초'라고 불리는 산해박~ 산해박 <Cynanchum paniculatum> -박주가리과- 오늘은 산해박이라는 식물을 만나 보겠습니다. 제주에서도 만날 수 있는 야생화이지만 개체수가 적어 귀한 대접을 받고 있는 아이랍니다. 한방에서는 이 산해박을 '약의 왕'이라 부르기도 하고 '영웅초'란 이명도 있다고 하지요. '여뀌'라는 식.. 2016. 6. 17. 이전 1 ··· 205 206 207 208 209 210 211 ··· 24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