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한국의 야생화1477

귀화식물인 나도공단풀~ 1980년도에 <한반도의 귀화식물 분포>에 전의식 선생이 발표하면서 공식적으로 나도공단풀이 알려졌다고 하며 2011년 귀화식물로 지정이 되었다고 하는데,원산지는 남아메리카라고 합니다. 구로공단에서 처음 발견되었다고 하는 공단풀과 비슷하여 접두어인 '나도'가 붙어 나도공단.. 2017. 9. 6.
줄기가 다북 모여 피어난 다북떡쑥~ 다북떡쑥 <Anaphalis sinica Hance > -국화과- 오늘은 다북떡쑥으로 하루를 열어 보겠습니다. 산지의 건조한 풀밭에 자라는 여러해살이풀로 전체에 솜털을 입고 있는 야생화입니다. 줄기가 다북 모여 나는 떡쑥이라는 의미로 다북떡쑥이 되었다고 합니다. 떡쑥의 이름을 가진 식물도 여럿 .. 2017. 9. 5.
울산바위를 지붕삼아 피어있는 봉래꼬리풀~ 봉래꼬리풀 < Pseudolysimachion kiusianum var. diamantiacum (Nakai)> -현삼과- 오늘은 봉래꼬리풀이라는 식물로 하루를 열어 보겠습니다. 멀리 보이는 울산바위를 지붕삼아 피어 있는 봉래꼬리풀~ 강원도에서 자라는 북방계 식물인 이 봉래꼬리풀은 국내에만 자생하는 우리나라의 특산식물입니다.. 2017. 9. 4.
슬픈 역사의 학명을 지닌 금강초롱~ 금강초롱 <Hanabusaya asiatica Nakai> -초롱꽃과- 제주에서 볼 수 없는 식물을 살펴보고 있는데 오늘은 금강초롱 이야기를 해 보고자 합니다. 1900년대 초에 금강산에서 처음 발견되어 마치 청사초롱을 닮은 듯 수줍게 피어나는 야생화입니다. 더위가 가시는 늦여름에 피어나는 이 금강초롱.. 2017. 9. 2.
병아리처럼 귀여운 병아리풀~ 병아리풀 <Polygala tatarinowii Regel > -원지과- 제주에서 만날 수 없는 식물을 살펴보고 있습니다. 오늘은 원지과의 병아리풀로 하루를 열어 보겠습니다. 원지과는 콩목의 쌍떡잎식물로 우리나라에는 2속 5종이 분포한다고 하는데, 애기풀,두메애기풀,원지,그리고 이 병아리풀이 원지과에 .. 2017. 9. 1.
분홍색으로 유혹하는 분홍장구채~ 분홍장구채 <Silene capitata Kom> -석죽과- 제주에는 자생하지 않는 식물들을 살펴 보고 있습니다.오늘은 분홍색을 띤 장구채인 분홍장구채를 소개해 드입니다. 2012년 멸종위기종으로 지정이 되기도 한 이 분홍장구채는 절벽서식의 3대 야생화 중 하나로 불립니다. 동강할미꽃,둥근잎꿩의.. 2017. 8. 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