콩과70 야관문으로 더 잘 알려진 비수리 비수리 <Lespedeza cuneata G.Don> -콩과- 비수리는 밤에 빗장을 열어준다 하여 ‘야관문(夜關門)’이라고도 하여 야관문으로 더 잘 알려진 식물입니다. 이를 먹으면 천리 밖에서도 빛이 난다고 하여 ‘천리광(千里光)’이라고도 한다고 하네요. 콩과의 여러해살이풀 비수리는 논두렁, 밭두.. 2013. 9. 4. 풀도 아닌것이~~~된장풀 된장풀 < Desmodium caudatum (Thunb.) DC.> -콩과- 제주도의 산과 들에는 된장풀이라는 식물이 있는데,이름이 특이하지요. 키는 150㎝쯤 자라고 잎 모양은 콩잎을 닮았는데 그보다는 약간 길쭉하게 생겼습니다. 풀 같기도 하고 나무 같기도 한 이 식물의 잎과 줄기를 잘라서 조금만 된장에 넣으.. 2013. 9. 2. 葛藤(갈등)의 칡 칡<Pueraria thunbergiana Benth.> -콩과- 갈등(葛藤)의 의미를 국어사전에서 찾아보면, '칡과 등나무'란 뜻으로 칡과 등나무가 서로 복잡하게 얽히는 것과 같이 개인이나 집단 사이에 의지나 처지,이해관계가 달라 서로 적대시하거나 충돌을 일으킴을 말하는 말.이라고 나와 있는데요. 갈등에.. 2013. 8. 24. 해녀의 삶을 닮은 해녀콩 해녀콩 <Canavalia lineata (Thunb.) DC.> -콩과- 해녀의 삶을 닮은 해녀콩~ 바다의 모래사장에서 척박하게 살아가는 해녀콩은 제주의 해녀의 삶과 닮아 있는 듯 합니다. 해녀콩은 독성을 가지고 있어서 원하지 않는 아이를 가졌을 때에 해녀들이 이 콩을 먹어서 아이를 떼었다고 합니다. 그런.. 2013. 7. 22. 이리의 이빨을 닮았다는 낭아초 낭아초 <Indigofera pseudotinctoria Matsumura> -콩과- 狼牙草(낭아초) : 한자의 뜻을 빌려 보면 狼(이리 낭)이라 하여 "이리"를 말함인데, 이 이리의 이빨을 닮았다고 하여 붙여진 이름이라고 합니다. 이리의 이빨을 보지 않아서 잘 모르겠지만요.ㅠㅠ 해안에서 자라는 작은 낭아초가 토종이라고.. 2013. 7. 20. "알팔파"라 불리는 자주개자리 자주개자리 <Medicago sativa> -콩과- 이 자주개자리는 서남아시아가 원산이며 옛날부터 사료작물로 재배하였다고 합니다. 유럽에서는 루선(lucern)이라고 불렀으나, 미국에서는 아랍어로 '가장 좋은 사료'라는 뜻으로 앨팰퍼,알팔파 라고 한다고 하네요. 자주개자리를 담아 보니 그 색깔이.. 2013. 7. 15. 이전 1 ··· 8 9 10 11 1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