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장미과104

겨울에 익어가는~ 겨울딸기 겨울딸기 -장미과- 오늘은 12월에 빨갛게 익어 가는 딸기 종류인 겨울딸기를 소개해 드립니다. 우리나라에 자생하는 딸기의 종류만도 상당한데요. 보통 산이나 들에서 자생하는 딸기 종류만도 20여가지가 넘는다고 합니다. 열매가 가을에서 겨울로 가는 시기에 익는다고 하여 겨울딸기라는 이름을 얻었습니다. 8월~9월경에 하얀꽃이 피어나는데 지역에 따라 10월까지도 꽃을 볼 수가 있습니다. 산딸기를 비롯하여 분홍색꽃을 피우는 줄딸기, 흰닷딸기, 닷딸기 등이 있고, 비슷한 종류로는 뱀딸기, 겨울딸기, 좀딸기, 수리딸기, 맥도딸기, 멍석딸기, 곰딸기, 함경딸기, 검은딸기, 장딸기, 가시딸기, 오엽딸기, 단풍딸기 등이 있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우리나라에 자생하는 딸기 종류들은 대부분 빨간 열매를 가지고 있습니다. 복분자.. 2020. 12. 11.
한라산의 산개벚지나무 산개벚지나무 -장미과- 오늘은 나무나라에 산개벚지나무의 열매로 하루를 열어 봅니다. 우리나라에는 16종의 벚나무가 서식하고 있는데 이중 제주에는 올벚나무, 산벚나무, 벚나무, 산개벚지나무, 섬개벚나무, 이스라지, 귀룽나무, 사옥 등 13종이 제주에 자생하고 있다고 알려지고 있습니다. 이름명과 관련하여 '산개버찌나무'로 사용해야 한다는 논리가 있습니다. 벚나무 종류의 열매를 '버찌'라고 쓰고 있고 '벚지'라고 쓰지 않는 것을 들어 산개벚지나무가 아닌 산개버찌나무로 써야 한다는 논리지요. 식물명 앞에 접두어인 '개'자가 들어간 것은 '변변치 못함'의 뜻을 의미합니다. 5월 중순이 되면 한라산에 털진달래와 붉은병꽃나무가 지고 나면, 산철쭉이 꽃망울을 터뜨리고 이 산개벚지나무가 꽃을 피우는데, 영실로 산행을 하.. 2020. 8. 1.
하얀꽃을 피운 찔레나무 찔레나무 <Rosa multiflora Thunb. var. multiflora> -장미과- 오늘은 너무나 잘 알고 있는 찔레나무로 하루를 열어 봅니다. 한국에서는 산과 들에 피는 장미라는 뜻으로 들장미라고 불리는 가장 흔하게 보이는 식물입니다. 찔리는 가시가 있는 나무라는 의미로 가시나무라고도 불리는 찔레나무.. 2020. 5. 16.
숲속의 검은딸기 검은딸기 <Rubus croceacanthus H.Lev. > -장미과- 오늘은 딸기 종류인 제주도에서 자생한다는 검은딸기라는 장미과의 식물로 하루를 열어 보겠습니다. 산에서 자라는 딸기를 우리는 흔히 산딸기라고 부르지만 산딸기라는 식물은 따로 있습니다. 산딸기 말고도 딸기 종류가 상당히 많이 있습.. 2020. 5. 3.
이름과 어울리지 않는~ 가시딸기 가시딸기 <Rubus hongnoensis Nakai > -장미과- 오늘은 장미과의 가시딸기라는 식물로 하루를 열어 보겠습니다. 일전에 장딸기,제주산딸기,섬나무딸기 등을 소개해 드린 적이 있는데 4월이 되면서 줄딸기 등 딸기 종류들의 꽃들이 하얀 꽃을 피우며 봄을 노래하고 있습니다. 도감에서는<한.. 2020. 4. 10.
가시가 없는 울릉도의 섬나무딸기 섬나무딸기 <Rubus takesimensis Nakai > -장미과- 오늘은 어제의 제주산딸기에 이어 울릉도의 섬나무딸기로 하루를 열어 보겠습니다. 지금 개화시기는 아니지만 딸기나무들을 포스팅하고 있어 작년에 담아 온 울릉도의 섬나무딸기를 소개해 봅니다. 울릉도, 오동도의 바닷가 산기슭에서 자.. 2020. 4.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