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장미과104

제주방명 '마께낭'이라 불리는~ 마가목 마가목 <Sorbus commixta Hedl.> -장미과- 오늘은 마가목이라는 나무 이야기로 하루를 열어 드립니다. 제주방명으로 '마께낭'이라 불리는데 '낭'은 나무를 의미하고 '마께'는 빨래방망이를 의미하는데 마께낭이 된 연유는 찾지 못하였습니다. 이 마가목의 이름은 봄에 돋아나는 새순이 마치 .. 2018. 10. 4.
팥배나무 이야기 팥배나무 <Sorbus alnifolia (Siebold & Zucc.) C.Koc> -장미과- 오늘은 팥배나무 이야기로 하루를 열어 봅니다. 지금 한창 열매가 달려 있는데 그 열매가 '팥'을 닮아 있고 하얀 꽃은 배나무꽃을 닮아 팥배나무라는 이름을 얻은 팥배나무는 밀원식물로도 이름이 있는 나무입니다. 팥배나무는 늦.. 2018. 10. 1.
제주에서 자라는 검은딸기 검은딸기 <Rubus croceacanthus H.Lev. > -장미과- 오늘은 딸기 종류인 제주도에서 자생한다는 검은딸기라는 장미과의 식물로 하루를 열어 보겠습니다. 산에서 자라는 딸기를 우리는 흔히 산딸기라고 부르지만 산딸기라는 식물은 따로 있습니다. 그런 장미과의 딸기 종류 중에 제주에서 자란.. 2018. 6. 14.
윷놀이에서 이름 지어진 떡윤노리나무와 윤노리나무 떡윤노리나무 <Pourthiaea villosa var.brunnea (H.Lev) Nakai> -장미과- 옛날에 이 나무로 윷을 만들어 사용했다고 하여 "윷노리"에서 "윤노리"로 되었다고 하는데요. 또한 탄력이 좋아서 소의 코뚜레로 많이 사용했다고 하여 우비목(牛鼻木) 또는 "쇠코뚜레나무"라고 불렸다고 합니다. 이 떡윤노.. 2018. 5. 17.
악기 '비파'에서 유래된~ 비파나무 비파나무 <Eriobotrya japonica Lindl.> -장미과- 오늘은 비파(琵琶)에서 이름이 유래된 유실수인 비파나무로 하루를 열어 보겠습니다. 비파를 검색해 보면 현악기의 하나,비파나무의 열매로 검색되시는 걸 볼 수가 있는데요. 11월경에 꽃이 피는 비파나무의 잎, 또는 열매가 중국의 비파악기.. 2017. 12. 29.
눈속의 겨울딸기 겨울딸기 <Rubus buergeri> -장미과- 오늘은 겨울에 익는 겨울딸기를 만나 보겠습니다. 어제는 제주에 많은 눈이 내렸습니다. 겨울딸기에도 눈이 내려 설중의 겨울딸기를 만나 볼 수 있었는데 그 모습으로 하루를 열어 보겠습니다. 우리나라에 자생하는 딸기의 종류만도 상당한데요. 보통.. 2017. 12. 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