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미과104 멸종위기 수종인 채진목~ 채진목 <Amelanchier> -장미과- 오늘은 잎이 나오기 전에 하얀 순백색의 꽃을 피우는 채진목입니다. 채진목(采振木)이란 이름은 장군의 지휘봉 끝에 달리는 것을 "채배"라고 하는데,그 채배를 닮아 그리 불렸다고 합니다. 채배라는 지휘채끝을 닮았다고 하여 붙여진 이름이라지만 한자를 .. 2016. 4. 16. 새순이 돋아나고 있는 홍가시나무~ 홍가시나무 <Photinia glabra> -장미과- 이름에서 홍가시라고 하여 "가시"가 붙었지만 가시는 없는 나무랍니다. 새순이 나올때 빨간잎의 새순이 나오기 때문에 '홍가시'란 이름이 붙었지요. 일본이 원산이라지요. 속명인 Photinia는 빛난다고 하는 그리스어로 새순이 빨갛고 광택이 있기 때.. 2016. 1. 20. 꽃말이 고운 피라칸다~ 피라칸다 : 피라칸서스 <pyracantha angusifolia .> -장미과- 오늘은 피라칸다라는 나무소개로 하루를 열어 보겠습니다. 빨간 열매가 인상적인데,일부 노란열매를 가진 아이도 있지요. 이 피라칸다의 어원은 그리스어 pyro(불꽃)+acantha(가시)의 합성어로 ‘불가시’이며 붉은 열매에서 유래된 .. 2015. 12. 13. 이름도 다정스러운 다정큼나무~ 다정큼나무 <Raphiolepis indica var. umbellata> -장미과- 오늘은 이름에서 알 수 있 듯 다정스러운 다정큼나무로 하루를 열어 보겠습니다. 제주도에서 남부 해안가까지 잘 자라는 이 다정큼나무는 '다정스럽다'는 뜻을 가지고 있는데요. 사전적으로 '다정스럽다'는 '정이 많아 따뜻하고 친절.. 2015. 12. 4. 소담스럽게 피어 있는 산개벚지나무~ 산개벚지나무<Prunus maximowiczii Rupr.> -장미과- 오늘은 나무나라에 산개벚지나무를 소개하며 하루를 열어 봅니다. 우리나라에는 16종의 벚나무가 서식하고 있는데 이중 제주에는 올벚나무, 산벚나무, 벚나무, 산개벚지나무, 섬개벚나무, 이스라지, 귀룽나무, 사옥 등 13종이 제주에 자생.. 2015. 5. 23. 한겨울에 익은 겨울딸기~ 겨울딸기 <Rubus buergeri> -장미과- 오늘은 겨울에 익는 겨울딸기를 만나 보겠습니다. 우리나라에 자생하는 딸기의 종류만도 상당한데요. 보통 산이나 들에서 자생하는 딸기 종류만도 20여가지가 넘는다고 합니다. 산딸기를 비롯하여 분홍색꽃을 피우는 줄딸기, 흰닷딸기, 닷딸기 등이 .. 2015. 1. 15. 이전 1 ··· 12 13 14 15 16 17 1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