잡초29 잡초성 식물인~ 애기석잠풀 애기석잠풀 -꿀풀과- 오늘은 한반도 미기록 귀화식물인 애기석잠풀로 하루를 열어 보겠습니다. 2015년 서귀포에서 발견되어 2016년에 한국식물분류학회지에 소개된 귀화식물입니다. 꿀풀과는 세계적으로 205속 6,700여종이나 있다고 하는데 우리나라에는 26속 65종이 있다고 합니다. 한국식물분류학회에 들어가 확인한 논문을 인용해 보면, '본 연구에서 확인한 미기록 귀화식물인 애기석잠풀은 화관의 크기가 길이 2.4~5.2밀리로 한반도에 분포하는 석잠풀속 다른 분류군에 비해 비교적 작다.또한 애기석잠풀은 소화가 6~12개로 마디에 돌려나며,소화의 수가 그 이하로 달리는 석잠풀과 뚜렷하게 구별된다.' 고 설명하고 있습니다. 이 애기석잠풀은 멕시코가 원산으로 미국의 남부지역을 포함한 남미 일부 지역에서 확인되고 .. 2024. 2. 24. 번식력이 강한 귀화식물~ 둥근빗살현호색 둥근빗살현호색 -현호색과- 오늘은 번식력이 강한 둥근빗살현호색으로 불리고 있는 식물을 만나 보겠습니다. 2007년 한국잡초학회에 보고된 식물로 식물의 형태를 따라 명명되었다고 하는데, 이 식물의 잎이 빗살을 닮아 있고,열매의 형태가 둥근 모습에서 이 이름을 붙였다고 합니다. 자주괴불주머니의 꽃색깔은 자주,또는 짙은 푸른색을 가지고 있지만 이 둥근빗살주머니의 꽃색깔은 보시는 바와 같이 주로 분홍색을 띠고 있는데,이제는 여러 곳에서 발견되는 것으로 보아 번식력이 상당히 강한 것으로 보입니다. 이 식물과 관련하여 한국잡초학회에서 발표한 이름인 둥근빗살괴불주머니를 국립생물자원관에서는 그대로 사용하고 있는데 반하여 국가식물표준목록이나, 국생종에서는 둥근빗살현호색이라는 이름을 사용하고 있습니다. 야생화를 담는 이들.. 2024. 2. 23. 살갈퀴와 새완두의 중간크기~ 얼치기완두 얼치기완두 -콩과- 어제 밭에서 예초하고 일을 하는데 한 구석에 덩굴성으로 자라는 콩과 식물이 있었는데 바로 얼치기완두였습니다. 밭에는 살갈퀴, 새완두, 얼치기완두가 잡초처럼 자라고 있습니다. '얼치기' 라는 단어를 검색해 보면 '똑똑하지 못하여 탐탁치 않은 사람' 이라고 설명하고 있습니다. 얼치기완두라는 이름은 이것도 저것도 아닌 중간치기의 의미로 사용된 듯 합니다. 밭에서 잡초처럼 자라는 살갈퀴, 얼치기완두, 새완두의 비교표를 만들어 보았습니다. 크기로는 살갈퀴가 가장 크고 그 다음으로 얼치기완두, 새완두 순입니다. 꽃의 크기는 작아서 바람이 불어 오면 한참을 인내하는 노력이 필요합니다. 새완두는 꽃이 여러개 달리는데 반하여 얼치기완두는 1~3개 정도가 달립니다. 얼치기완두를 접사해 보면 이렇게 곱습.. 2023. 4. 22. 이름도 재미있는~ 지네발새 지네발새 -벼과- 밭을 정리하다가 온통 왕바랭이만 보였는데 이상한 벼과 식물을 발견하여 사진을 찍어 도감과 지인에게 문의하였더니 지네발새라는 귀화식물이라고 동정을 하였습니다. 아프리카가 원산인 잡초로 취급을 받고 있는데 좀처럼 만나기는 어려운 잡초인 것 같습니다. 이 풀은 우리나라를 포함한 세계의 많은 지역에서 잡초와 침입종으로 취급하고 있습니다. 속명 'Dactyloctenium'는 그리스어 'daktilos'(손가락, 발가락)와 'ktenion'(작은 빗)에서 파생되었다고 합니다. 먹거리가 부족한 아프리카에서 기근 식품으로 사용되는 전통적인 식량 식물이라고 설명하고 있는데 이 풀을 어떻게 먹는지 궁금하기만 합니다. 엽초 안의 엽설에는 털이 발달되어 있는데 벼과나 사초과 식물들에게는 엽초, 엽설 등의 .. 2022. 10. 5. 병아리처럼 앙증맞은~ 병아리다리 병아리다리 -원지과- 오늘은 '병아리'이름이 들어간 식물 하나를 소개해 드리겠습니다. 병아리가 들어간 식물 이름은 이 병아리다리뿐만 아니라 병아리꽃나무,병아리풀,병아리난초,구름병아리난초 정도가 되는데,병아리방동사니도 있는 것을 보면 작은 꽃들에 대한 관심이 병아리로 향하는 것인지도 모를 일입니다. 제주에는 계속 비가 오다가 어제 비가 그친 후, 찾아갔던 곳에 병아리다리가 꽃을 활짝 피우고 있었습니다. 사진으로 보면 크기가 클 것 같은데 정말 작은 식물로 그냥 지나칠 정도로 작은 전초를 하고 있습니다. 이 병아리다리는 7~8월에 꽃이 마치 아주 작은 버선모양으로 피어 납니다. 병아리다리의 속명인 는 성경에 나오는 솔로몬에서 왔다고 하며, 종명인 는 '장타원형의 잎을 가진'이라는 뜻이라고 합니다. 제가 담아.. 2021. 8. 18. 꽃이 작은 난쟁이~ 난쟁이아욱 난쟁이아욱 -아욱과- 오늘은 난쟁이아욱으로 하루를 열어 보겠습니다. 식물 이름에 작다라는 의미로 접두어가 붙는데 '각시', '좀', '난쟁이' 등이 대표적입니다. 다만 이는 식물들과의 상대적 개념이라 어느만큼 작은지는 그 식물들의 특성을 살펴야 할 것입니다. 꽃은 초여름인 6월경부터 피기 시작하는데 꽃잎에는 자색의 줄이 선명하고 꽃자루가 있고 애기아욱보다 꽃이 2배 정도 큰 것이 특징입니다. 이 난쟁이아욱의 꽃은 꽃잎이 서로 붙어 있지만 아래에 보시는 애기아욱의 꽃잎은 떨어져 있어 꽃이 피면 아욱과의 두 종의 비교는 가능할 것 같습니다. 이 난쟁이아욱과 비슷한 식물이 있는데 바로 애기아욱입니다. 우리가 보통 해안변의 올레길을 걷다가 만나는 아욱과의 식물은 대부분.. 2021. 7. 5. 이전 1 2 3 4 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