야생화1215 봄은 우리 곁에~ 광대나물(흰색) 광대나물 Lamium amplexicaule.L>-꿀풀과- 오늘은 봄맞이라는 꽃말을 가진 광대나물을 만나 봅니다.집 근처 어디에서나 볼 수 있는 아주 작은 야생화지만 너무 흔해서눈길조차 주지 않곤 하는데 제주의 들판이나 밭둑,아파트의 외진 모퉁이에서도 만날 수 있는 풀꽃입니다.보통의 광대나물의 꽃은 보라색이지만 이렇게 흰색을 가진 개체도 있습니다. 예부터 길쭉한 꽃모양이 코를 후벼 나오는 코딱지와 비슷하다고하여 '코딱지나물'이라고도 불렸다고 합니다. 이런 꼬딱지나물 이름 외에도 광주리나물,광주리나물꽃,목걸레나물 등다양한 이름으로 불리고 있는데 봄이 되면가장 흔하게 만날 수 있는 아주 작은 야생화입니다. 학명 Lamium amplexicaule의 속명 Lamium은 '목구멍'이라는 뜻으로꿀풀.. 2025. 3. 8. 흰색의 꽃을 가진~ 큰개불알풀 큰개불알풀 Veronica persica Poir.>-현삼과- 오늘은 우리 주변에서 흔히 만날 수 있는 들꽃인 큰개불알풀로 하루를 열어 드립니다.우리가 흔히 가장 많이 볼 수 있는 개불알풀속의 식물이 바로 이 큰개불알풀입니다.이 큰개불알풀의 꽃의 색감은 파란색이 주종을 이루고 있으나 가끔 이렇게 하얀색의 변이가 발견되곤 합니다. 이름이 조금 상스러운 면이 있지요.이름에서 오는 불편함 때문에 '봄까치꽃'으로 부르기도 하지만 표준식물명은 아직 이렇게 불리고 있습니다.이 열매가 달리면 열매 모양이 개의 수컷의 생식기를 닮아 있기 때문에 붙여진 이름이라고 알려져 있습니다. 큰개불알풀을 한자로 쓰면,지금 地錦이라고 하는데,땅 위를 덮는 비단이란 뜻입니다.큰개불알풀이어서 '큰지금'이라는 또다른 별.. 2025. 3. 5. 올해는 개화시기가 늦다~ 흰털괭이눈 흰털괭이눈 Chrysosplenium barbatum Nakai>-범의귀과- 괭이눈속 아이들은 꽃이 지고 열매가 익어갈때 씨앗을 감싸던 씨방이 벌어지는데그 모습이 고양이 눈을 너무나 닮아 있다고 하여 붙여진 이름이라고 설명을 하고 있습니다.올해는 봄꽃들의 개화가 예년보다 많이 늦은 것 같습니다. 에전에는 흰털괭이눈으로 불리던 식물인데 언제인가 다른 종으로 해석되어흰괭이눈으로 불리다가 지금은 원래의 흰털괭이눈으로 불리고 있습니다.국가식물표준목록에서도 흰털괭이눈이 추천명으로 올라와 있습니다. 식물도감이나 책에서 괭이눈의 설명을 보면,'고양이가 햇살 좋은 날 눈을 지그시 감고있는 모습과 같다.'고 표현을 한 바,햇볕을 받은 고양이의 눈의 동공이 수축하여 세로로길쭉하게 보이는 모습이 마치 괭이눈의 .. 2025. 3. 4. 청자색 열매를 가진~ 소엽맥문동 소엽맥문동 Ophiopogon japonicus (L.f.) KerGawl>-백합과- 우리나라의 남부지방에서 자라며 일반 맥문동에 비해 잎기 가늘고 작아서 붙여진 이름인데 맥문동의 열매는 검은색을 띠나 이 소엽맥문동은 파란 하늘색을 가지고 있습니다. 소엽맥문동 뒤로 맥문동의 열매도 보입니다.가느다란 잎 사이로 청자색 열매가 눈에도드라져 식물을 담는 진사들의 발길을 붙잡고 있습니다. 이 소엽맥문동은 5월에 하얀 꽃을 피우는데그 크기가 작아 사진에 담기가 까다로운 식물입니다. 맥문동의 다른 이름으로 맥동 이라고 하는데,이름처럼 푸른 잎으로 겨울을 나는 보리를 닮은 겨울풀이라는 의미를 담고 있습니다.일반 맥문동에 비해 잎이 가늘어서 소엽맥문동이라는 이름을 얻었습니다. 소엽맥문동의 도감 .. 2025. 2. 28. 변산바람꽃, 세복수초,산쪽풀이 있는 풍경 변산바람꽃과 세복수초, 그리고 산쪽풀이옹기종기 모여 살아가고 있는 모습을 담아 본 한 장의 사진으로 하루를 열어 봅니다. 오늘도 고운 하루 되세요. 2025. 2. 25. '봄맞이' 꽃말을 가진 광대나물 광대나물 Lamium amplexicaule.L>-꿀풀과- 오늘은 봄맞이라는 꽃말을 가진 광대나물을 만나 봅니다.집 근처 어디에서나 볼 수 있는 아주 작은 야생화지만 너무 흔해서 눈길조차주지 않곤 하는데 제주의 들판이나 밭둑, 아파트의 외진 모퉁이에서도 만날 수 있는 풀꽃입니다. 예부터 길쭉한 꽃모양이 코를 후벼 나오는 코딱지와비슷하다고 하여 '코딱지나물'이라고도 불렸다고 합니다,이런 꼬딱지나물 이름 외에도 광주리나물,광주리나물꽃,목걸레나물 등다양한 이름으로 불리고 있는데 봄이 되면 가장 흔하게 만날 수 있는 아주 작은 야생화입니다.어제 오랫만에 밭에 나가 작업을 하였는데 온통 이 광대나물밭이 되어 있었습니다. 학명 Lamium amplexicaule의 속명 Lamium은 '목구멍'이라는 뜻으.. 2025. 2. 22. 이전 1 2 3 4 5 6 ··· 20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