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미나리아재비과189

다시 찾은 변산바람꽃 변산바람꽃 Eranthis byunsanensis B.Y.Sun >-미나리아재비과-   2주 전에 찾아갔던 변산바람꽃을 지난 주에 다시 찾았습니다.작년에는 1월 말에 만났던 세복수초는 아직인데변산아씨들은 많이 피어 있었습니다.     아직 눈을 뜨지 못한 동물의 눈처럼 봉오리를 한 개체도 보이고따뜻한 양지에는 하나 둘 변산아씨가 피어나고 있었습니다.    아직 꽃을 피우지 못한 변산바람꽃은 동물의 새끼들마냥눈을 뜨지 못하고 따뜻한 햇살을 기다리고 있습니다.    바람꽃 종류는 대개 이른 봄에 꽃을 피워 번식을 마치고 주변 나무들의 잎이 나기 전에광합성을 해서 덩이뿌리에 영양분을 저장하는 특성을 가지고 있다고 합니다.이 변산바람꽃을 시작으로 야생화 나들이가 시작된다고 해도 과언이 아닙니다.   이해를 하기.. 2025. 2. 18.
추워도 봄은 가까이~! 새끼노루귀 새끼노루귀 Hepatica insularis Nakai>-미나리아재비과-   오늘은 눈과 얼음을 뚫고 나온다고 하여 일명 '파설초'라불리는 새끼노루귀를 만나 보겠습니다.올해 처음 만난 새끼노루귀 이야기를 내려 놓습니다.   노루귀속의 속명인 Hepatica는 Hepaticus(간장,肝腸)의 라틴어라고 하는데,잎이 갈라진 모습이 장기의 간장과 비슷하다는데 유래되었다고 합니다.   새끼노루귀의 이름과 관련하여 뽀송뽀송한 긴 털을 입고 잎이 올라올때 말려서 올라오는모습이 마치 새끼노루의 귀를 연상한다고 하여 붙여진 이름입니다.우리나라에 분포하는 노루귀 종류는 노루귀를 비롯하여 울릉도에서자생한다는 섬노루귀와 이 새끼노루귀가 있습니다.   여기서 새끼노루귀 꽃의 구조를 알아 볼까요?새끼노루귀의 꽃을 보면 꽃잎으로.. 2025. 2. 17.
올해 처음 대면하는~ 변산바람꽃 변산바람꽃 Eranthis byunsanensis B.Y.Sun >-미나리아재비과-   주말에 떠나가는 겨울과 봄이 오는 소리를 듣고자 꽃마실을 나갔습니다.작년에는 1월 말에 만났던 세복수초는 아직이고변산바람꽃 몇 송이들이 빼꼼 고개를 들어 눈맞춤을 합니다.    아직 눈을 뜨지 못한 동물의 눈처럼 봉오리를 한 개체도 보이고따뜻한 양지에는 하나 둘 변산아씨가 피어나고 있었습니다.    바람꽃 종류는 대개 이른 봄에 꽃을 피워 번식을 마치고 주변 나무들의 잎이 나기 전에광합성을 해서 덩이뿌리에 영양분을 저장하는 특성을 가지고 있다고 합니다.이 변산바람꽃을 시작으로 야생화 나들이가 시작된다고 해도 과언이 아닙니다.   이해를 하기 쉽도록 변산바람꽃의 구조를 살펴 보겠습니다.꽃잎으로 보이는 하얀 잎은 바로 꽃.. 2025. 2. 3.
순백의 미~ 백작약 백작약 Paeonia japonica (Makino) Miyabe & Takeda >-미나리아재비과-  오늘 아침에는 곱디 고운 백작약으로 하루를 열어 보겠습니다.백작약을 옛날에는 함박꽃이라 했다고 합니다.여기서 함박은 함지박을 말하는 것으로 꽃 모양이 함지박처럼 크다 하여그렇게 부른 모양인데 함박꽃이라고 부르고 있는 식물이 많이 있습니다.   백작약은 전국의 숲 속의 그늘이 있거나 유기물이 많은 비옥한 사질양토에서 잘 자라는 여러해살이 풀꽃입니다.꽃은 5~6월에 피는 것으로 도감에 나와 있지만 제주에서는 빠르면 4월 중순이면피고 꽃의 지름이 4-5cm 정도로 큰 편입니다.   큼지막한 꽃을 피우고 있는 백작약이 곱게 피어 있습니다.이렇게 곱게 피는 모습 때문에 백작약을 캐어 가는 일이 많다고 합니다. .. 2024. 5. 13.
봄을 곱게 수놓은~ 남바람꽃 남바람꽃 -미나리아재비과- 제주의 4월 요즘 들판에 고사리를 찾아 떠나는 이들의 차량을 많이 볼 수 있습니다. 고사리철이 될 무렵 제주에서는 바람꽃중 아름답다고 하는 남바람꽃이 피어납니다. 국가식물표준목록이나 국생종에서는 바람꽃이라는 이름을 가진 식물을 18종으로 구별하고 있는데 일부 학자들은 13종,15종 정도로 구별하기도 합니다. 2006년 제주도 중산간 일대 목장에서 발견되어 미기록종으로 발표되었고, 국내에서는 전남,경남의 일부 지역에서도 자생한다고 하는 식물입니다. 그러나 1942년 전남 구례 지역에서 식물학자인 박 만규 선생에 의해 소개된 식물이었습니다. 해방 이후 박만규 선생의 1949년 '(문교부, 1949)' 에 따르면 이 식물을 또 '봉성바람꽃'이라 소개한 적이 있다고 하며, 1974년 .. 2024. 4. 12.
제주의 할미꽃~ 가는잎할미꽃 가는잎할미꽃 -미나리아재비과- 봄을 맞이하는 꽃들의 향연이 들에서 곶자왈에서 잔치를 벌이고 있는 3월입니다. 오늘은 지금 막 잠에서 깨어나고 있는 가는잎할미꽃을 만나 보겠습니다. 제주에서 자라는 할미꽃을 가는잎할미꽃이라 합니다. 다른 종류에 비해 잎이 가늘게 갈라져서 붙여진 이름입니다. 가는잎할미꽃의 학명을 'Pulsatilla cernua'라 하는데 속명 'Pulsatilla'는 '종모양의'라는 뜻을 가지고 있고 종소명 'cernua'는 '고개를 숙인'이라는 뜻이 있습니다. 가는잎할미꽃의 모습을 연상하면 학명이 적절하게 쓰여진 것 같다는 생각을 하게 됩니다. 국가표준식물목록에는 우리나라에 자생하는 할미꽃이 7종 정도로 기술이 되어 있습니다. 할미꽃,가는잎할미꽃,노랑할미꽃,산할미꽃,분홍할미꽃,동강할미꽃,.. 2024. 3. 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