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극과52 '진주초'라 불리는~ 여우구슬 여우구슬 < Phyllanthus urinaria L. > -대극과- 오늘은 여우구슬이란 식물로 하루를 열어 보겠습니다. 여우구슬은 남부지방의 풀밭에서 자라는 식물로 밤이면 합환목 같이 잎을 오무려 마치 여우처럼 신출귀몰한다고 하여, 그리고 구슬을 달고 있어 여우구슬이라 한다고 합니다. 다른 이명.. 2018. 10. 27. 단풍이 물들어 가는~ 사람주나무 사람주나무 <Sapium japonicum (Siebold & Zucc.) Pax & Hoffm.> -대극과- 오늘은 사람주나무 이야기로 하루를 열어 보겠습니다. 가을이 되면서 나무의 잎들은 점차 단풍이 물들어 가고 있습니다. 사람주나무도 곱게 단풍이 물드는 작은 키나무인 낙엽성 소교목입니다. 사람주나무의 이름 유래는 .. 2018. 10. 15. 바닷가의 흰대극 흰대극 <Euphorbia esula L.> -대극과- 대극과의 식물은 독성이 있다고 하는데 어제의 암대극에 이어 오늘은 흰대극으로 하루를 열어 보겠습니다. 대극이란 이름도 뿌리가 맵고 쓰기 때문에 먹으면 목구멍을 몹시 자극한다는 뜻의 '大戟'(대극)에서 왔다고 합니다. 그러면 흰대극의 하얀뜻.. 2018. 4. 28. 여름을 기다리는 암대극 암대극 <Euphorbia jolkini Boiss> -대극과- 오늘은 대극과의 암대극을 만나 보겠는데요. 바위틈에서 자란다고 하여 '갯바위대극','갯대극'이라 불린답니다. 비양도에서 담은 암대극,그리고 가파도에서 담은 암대극 등 제주도 바닷가에서 담은 암대극들입니다. 꽃이 필때 총포엽이 노란색을 .. 2018. 4. 27. 같은 모델,다른 느낌의 흰대극 흰대극 <Euphorbia esula L.> -대극과- 오늘은 같은 모델을 시차를 두고 촬영을 해 본 흰대극 식물로 하루를 열어 보겠습니다. 대극과의 식물은 독성이 있다고 하는데요.대극이란 이름도 뿌리가 맵고 쓰기 때문에 먹으면 목구멍을 몹시 자극한다는 뜻의 '大戟'(대극)에서 왔다고 합니다.그.. 2018. 1. 16. 오아시스의 나무를 닮은~ 흰대극 흰대극 <Euphorbia esula L.> -대극과- 오늘은 단풍이 든 흰대극을 만나 보겠습니다. 대극과의 식물은 독성이 있다고 하는데요.대극이란 이름도 뿌리가 맵고 쓰기 때문에 먹으면 목구멍을 몹시 자극한다는 뜻의 '大戟'(대극)에서 왔다고 합니다.그러면 흰대극의 하얀뜻은 어디서 왔을까 검.. 2017. 11. 16. 이전 1 ··· 3 4 5 6 7 8 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