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대극과52

열매에서 기름을 얻었다는~ 유동 유동 -대극과- 오늘은 열매에서 공업용 기름을 얻었다는 나무인 유동으로 하루를 열어 드리겠습니다. 대극과의 나무인 이 유동은 일본유동속의 나무로 이 속에는 유동과 일본유동 두 종이 등록되어 있지만, 중국의 목유동을 포함하여 세계적으로 3종으로 분류하고 있습니다. 유동은 동남아시아와 중국 지방이 원산지로 중국에서 언제 우리나라로 도입되었는지는 확실치 않고 이 유동에서 기름을 짜낸 것을 '동유'라고 하여 공업용 기름으로 사용하였다고 합니다. 유동의 속명인 'Vernicia '는 이 나무의 열매에서 기름을 짜 'varnish'니스칠 도료로 사용하였다고 하여 붙여진 이름입니다. 개화 시기가 작년보다 빨라 벌써 꽃이 떨어지고 있었습니다. 이 유동의 기름은 방수력이 훨씬 뛰어나 조선 군인의 비옷에 발라졌으며 또한 .. 2022. 4. 30.
유혹의 명수~ 개감수 개감수 -대극과- 오늘은 대극과의 식물인 개감수를 소개해 드리며 하루를 열어 보겠습니다. 이름도 특이한 이 개감수의 감수(甘遂)는 생약명에서 따 온 것이라고 합니다. 생약명인 감수에서 접두어인 '개'가 붙은 것인데 보통 이 개감수를 감수라고 부르고 있습니다. 이 개감수는 꽃이 녹황색으로 별처럼 예쁘게 생겼습니다. 벌과 나비들을 유혹하기 위한 생존전략입니다. 잎도 자주색으로 자라다가 녹색으로 변하며 카멜레온처럼 변신의 귀재입니다. 이 개감수는 한 개체에서 암꽃과 수꽃이 같이 피는 식물로 알려져 있습니다. 이른 봄이면 진한 자주색을 띠고 올라오는 이 개감수를 만나려면 깊은 숲속으로 가야 합니다. 대극과의 식물들은 대부분 독이 있다고 알려.. 2022. 4. 1.
한겨울의 흰대극 흰대극 -대극과- 대극과의 식물은 독성이 있다고 하는데 오늘은 흰대극으로 하루를 열어 보겠습니다. 대극이란 이름도 뿌리가 맵고 쓰기 때문에 먹으면 목구멍을 몹시 자극한다는 뜻의 '大戟'(대극)에서 왔다고 합니다. 그러면 흰대극의 하얀뜻은 어디서 왔을까 검색을 해 보니 뿌리가 하얀 모습이라고 합니다. 대극과의 나무로는 우리가 많이 알려진 굴거리,예덕나무,사람주나무,오구나무,유동 등이 있구요. 초본으로는 봄에 일찍 꽃을 피우는 산쪽풀을 비롯하여 암대극,두메대극,등대풀,여우구슬 등이 있습니다. 작년 이 맘때 눈이 많이 와서 달려가 담았던 사진을 꺼내 봅니다. 설중으로 담았던 흰대극의 모습입니다. 같은 장소에서 며칠 전에 담은 사진입니다. 1년만에 같은 장소에서 담았는데 분위기가 다르네요. 이 흰대극은 남부 해.. 2022. 1. 19.
만두 하나 드세요~ 조도만두나무 조도만두나무 -대극과- 오늘은 우리가 접하기 힘든 나무인 조도만두나무를 살펴 보도록 하겠습니다. 이름도 특이한 이 조도만두나무는 우리나라 진도군 조도면에서 발견되고 만두같은 열매가 달리는데서 이름이 붙여진 우리나라 고유종입니다. 전남 진도군 조도면에서 발견되었다고 하여 조도면이 어디쯤 있는지 다음 지도를 통해 확인해 보았습니다. 제가 이 조도만두나무 꽃을 담아 포스팅 한 날이 6월 17일이었는데 열매가 맺히는데 거의 3개월 정도가 된 것 같습니다. https://blog.daum.net/goodsh/7000892 우리나라에서는 조도만두나무속 식물은 자생하지 않는 것으로 알려졌으나 1983년 8월 전남대학교 이정석(李偵錫)·임형탁 교.. 2021. 9. 8.
열매가 만두를 닮은~ 조도만두나무 조도만두나무 -대극과- 오늘은 우리가 접하기 힘든 나무인 조도만두나무를 살펴 보도록 하겠습니다. 이름도 특이한 이 조도만두나무는 우리나라 진도군 조도면에서 발견되고 만두같은 열매가 달리는데서 이름이 붙여진 우리나라 고유종입니다. 전남 진도군 조도면에서 발견되었다고 하여 조도면이 어디쯤 있는지 다음 지도를 통해 확인해 보았습니다. 우리나라에서는 조도만두나무속 식물은 자생하지 않는 것으로 알려졌으나 1983년 8월 전남대학교 이정석(李偵錫)·임형탁 교수 등이 자연보호중앙협의회의 의뢰를 받아 다도해 해상국립공원 중 조도지구 자연실태 종합조사를 실시하다가 상조도에서 이 나무를 발견하여 1994년 등재한 나무로 그 지역명과 열매 형태를 따서.. 2021. 6. 17.
산에 자라는 쪽풀~ 산쪽풀 산쪽풀 -대극과- 오늘은 쪽풀과 관련이 있는 산쪽풀을 만나 보겠습니다. 쪽풀은 마디풀과에 속하지만 이 산쪽풀은 대극과의 식물입니다. 봄을 알리는 야생화가 많지만 세복수초나 변산바람꽃보다 더 일찍 개화하는 산쪽풀이 있습니다. 도감의 설명에 의하면 5월에 꽃이 핀다고 나와 있지만 제주에서는 빠른 곳은 1월 말부터 피기 시작하여 4월초까지도 볼 수 있는 야생화입니다. 산에서 자라는 특성과 쪽처럼 쓰이는 풀이라고 하여 산쪽풀이란 이름을 가졌습니다. 쪽풀은 여름이 지나면 흔히 볼 수 있는 마디풀과의 여뀌처럼 생겼습니다. 여름이 한창일 무렵 7~8월에 이렇게 꽃대가 올라오면 수확을 하여 잎과 줄기를 이용하여 쪽염색에 사용합니다. 쪽풀을 항아리에 담아 2~3일 썩힌 후 색소가 추출된 물에 소석회와 잿물을 넣어 염색이.. 2021. 2.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