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여행,식물,풍경8230

돈나무 돈나무과의 돈나무 흔히 가로수 밑이나 화단에 많이 심는 이 나무는 제주 방언으로 똥나무 똥낭이라 불리던 돈나무입니다. 열매의 냄새가 아주 고약하다는데서 유래되었다고 합니다. 상록관목. 잎은 호생하고 가지 끝에 밀생한다. 두껍고 표면이 진한 녹색으로 광택이 나고 마르면 가죽질이 된다. 긴 .. 2009. 4. 21.
등(참등,등나무) 콩과의 낙엽덩굴나무 경남과 전남 일부에 자생하는 낙엽활엽성 덩굴 중국이름 등(藤 등나무 등)을 차용한 것으로 등의 글자 자체가 나무를 감고 올라가는 모양을 본떠 만든 것으로 보아 덩굴성 식물이라는 뜻에서 유래된 이름입니다. 별칭으로 참등이라 합니다. 잎은 호생이며 잎의 형태는 깃꼴겹잎이.. 2009. 4. 21.
구상나무 소나무과의 구상나무 소나무과인 걸 처음 알았습니다.아직 나무에 초보라서... 이제부터라도 시작하는 마음으로 열심히 배우겠습니다. 그냥 알기로는 "주목과"인 줄 알았는데 소나무과이군요. 전세계에서 우리나라의 제주도, 지리산 노고단 임걸령, 전라북도 덕유산 등지에서만 자란다. 키는 18m에 달.. 2009. 4. 21.
소사나무 자작나무과의 소사나무 서어나무를 서목(西木)이라 하고, 잎이 작은 소사나무는 한자로 소서목(小西木)이라고 부르기도 한답니다. <이하 출처: 한라수목원 홈피> 낙엽교목. 길이가 2-5cm이고 소지와 잎자루에 털이 밀생한다. 잎은 작고 난형으로 끝이 뾰족하거나 둔하며 밑동은 둥글고 길이2-5cm로서 .. 2009. 4. 21.
안새미오름 명도암 선생의 얼이 서려 있는....오름 명도암 마을은 조선시대 유학자인 김 진용 선생의 호입니다. 명도암(明道菴) **암자를 책력 암자로 쓰였는지 궁금합니다. 보통은 암자 암이나 바위암자를 쓰는데요. 찾아보니 김진용 선생의 호는 明道菴을 쓰고 마을 이름은 明道岩을 쓰고 있습니다. 본관이 광산.. 2009. 4. 20.
개가시나무(환경부 보호수종) 참나무과의 개가시나무입니다. 이전에 곶자왈 가다가 개가시 나무 군락을 본 적이 있는데요 한라 수목원에 이 개가시나무가 있습니다. 잎은 호생하고 넓은 도피침형으로 가죽질이고 길이가 5-12cm이며 끝부분 예리한 톱니가 있고 뒷면 황갈색털 밀생한다. 엽병은 길이가 1cm정도로 잎 뒷면과 더불어 털.. 2009. 4. 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