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희귀난초54

멸종위기 희귀식물인~ 비자란 비자란 -난초과- 오늘은 멸종위기 희귀식물로 지정되어 있는 비자란으로 하루를 열어 봅니다. 난초목 난초과의 이 비자란은 비자나무에 착생하여 살아간다는데서 붙여진 이름이지만, 보통 소나무나 상록수림에 붙어 자라납니다. 제주의 일부 지역에서만 자란다고 하여 일명 '제주난초'라고도 하는데, 아주 오래된 노거수에만 착생하여 살아간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콩짜개덩굴과 함께 살아가고 있는데 콩짜개덩굴의 모습과 비교하면 그 크기를 짐작할 수 있겠네요. 현재 멸종위기동식물은 2017년 기존 246종에서 267종으로 확대가 되었습니다. 멸종위기 야생생물 1급 60종, 멸종위기 야생생물 2급 207종인데 그 중 식물만 볼때 1급 식물은 11종, 2급 식물은 77종입니다. 1급 식물은 광릉요강꽃, 나도풍란, 만년콩, 한라솜다.. 2022. 4. 29.
숲속의 희귀난초~ 한라천마 한라천마 -난초과- 오늘은 잎이 없는 부생란으로 엽록소가 없는 한라천마를 소개해 드리며 하루를 열어 보겠습니다. 제주의 숲에서 자라는 희귀란으로 올해는 개화 시기가 조금 빠른 것 같습니다. 녹갈색으로 1~5개 정도의 꽃이 피어 납니다. 낙엽수림의 썩은 식물체에 기생하여 살아가는 난초과의 식물입니다. 천마(天麻)는 잎이 없는 무엽란으로 알려져 있고 그 크기가 큰 것은 어른 허리춤까지 올라오는데 반하여, 제주에서만 자생한다는 의미의 '한라'가 붙어 한라천마라는 이름을 얻게 된 난초입니다. 한라천마 외에 천마가 있고,천마보다 작다고 하여 이름 지어진 애기천마라는 식물이 또 있습니다. 이 한라천마의 속명인 'Gastrodia'는 소화기관을 나타내는 '위'를 지칭하는 그리스어인데, 화피 전체가 위처럼 부풀어 오른.. 2021. 8. 30.
숲속의 작은 착생난초~ 혹난초 혹난초 -난초과- 너무나도 작은 혹난초를 만나 보시겠습니다. 이명으로 '보리난초'또는 '보리혹난초'라는 이름으로도 불리고 있는데요. 종명 inconspicuum 은 라틴어의 "현저(顯著)하지 않다"라는 뜻으로 꽃이 작고 잘 보이지 않는다는 뜻이라고 합니다. 상록수림 내의 햇볕이 잘 들어오지 않는 곳의 나무껍질이나 바위에 붙어 자라는 식물입니다. 뿌리는 뿌리줄기가 옆으로 뻗고 헛알줄기(위인경, 僞鱗莖)가 달려 있으며 헛알은 달걀 모양이고 꽃은 헛알 옆에서 아주 작게 피어 납니다. 혹난초의 이름은 헛알줄기의 모양이 혹 또는 보리 같기 때문에 혹난초 또는 보리난초라고 부르고 있는데 여기서 '헛알줄기'란 위구경, 여물지 않은 속이 비어 있는 줄기를 의미합니다. 여름이 오는 길목에 만난 혹난초가 고운 모습을 하고.. 2021. 6. 16.
병아리처럼 작은 난초~ 병아리난초 병아리난초 -난초과- 오늘은 병아리처럼 작은 병아리난초를 만나 보겠습니다. 종명 gracile은 라틴어로 "섬세한"이란 뜻으로, 꽃이 작고 왠지 가냘프게 보이는 데서 연유한다고 합니다. 곱게 피어난 작은 병아리난초를 한참이나 들여다 보았네요.~ 야생화에서 이 '병아리'가 들어간 접두어의 야생화들은 보통 작거나 앙증맞거나 키가 작은데서 유래한다고 하지요. 실제로 보면 전초가 보통의 난초들보다 작은 모습을 하고 있습니다. 우리나라 전국의 산지의 암벽에 자라는 작은 난초입니다. 보통 이끼가 많고 반그늘진 바위틈에서 자라는 병아리난초는 여름이 오기 전인 6~7월에 꽃을 피우는 작은 난초입니다. 작은 꽃망울을 머금고 앙증맞게 피어 있습니다. 야생화의 이름 중에 '병아리'가 들어가는 식물이 몇 있습니다. 이 병아리.. 2021. 6. 14.
솔잎 하나 크기의 작은 난초~ 영아리난초 영아리난초 -난초과- 오늘은 상록수림의 부식토에 자라는 영아리난초로 하루를 열어 보겠습니다. 그 크기가 아주 작아서 비교해 본다면 솔잎 크기 정도인데 그 끝에 꽃이 피어 있다고 하면 될까요? 아주아주 작은 난초인 영아리난초를 만나 보겠습니다. 2007년 영아리난초에 관한 기사 내용입니다. '우리나라에서는 아직 보고된 바 없는 난초가 습지보호지역에서 발견, 국명을 가칭 '영아리 난초'로 명명했다고 발표했다.' -2007년 학계 보고 자료 및 신문 기사- 영아리난초의 도감 설명을 보면, '낮은 지대의 숲속에서 자라는 여러해살이풀로 줄기 높이는 5~10센티 정도이며 잎은 한장이고 꽃은 꽃줄기에서 하나씩 피는데 자주색 점이 있기도 하다'고 설명하고 있습니다. 이 영아리난초는 꽃을 활짝 피운 아이를 만나기도 어렵.. 2021. 6. 10.
아주 작디 작은 난초~ 아기쌍잎난초 아기쌍잎난초 -난초과- 오늘은 아주 작은 난초인 아기쌍잎난초로 하루를 열어 드립니다. 일본과 대만에 분포하는 것으로 알려진 이 아기쌍잎난초는 한국식물분류학회지에 2013년에 발표되면서 알려진 식물입니다. 난초과의 식물중에 가장 작다고 알려진 영아리난초가 있는데 이 아기쌍잎난초도 영아리난초만큼이나 작은 듯 한데 영아리난초보다는 담을만 한 것 같습니다. 국명은 쌍잎난초보다 귀엽고 작아서 아기쌍잎난초로 신칭하였다고 하는데 작은 꽃대에 마주보는 쌍잎이 인상적입니다. 란국식물분류학회지 논문에 실려 있는 이 아기쌍잎난초의 설명을 보면, ' 이 종은 식물체가 작으며 입술꽃잎에 꽃술대를 둘러싸는 소열편과 T자 모양의 신장된 육상체가 있고 꽃이 이른 봄에 피는 특징에 의해 근연종들인 쌍잎난초 및 털쌍잎난초와 구별된다.'.. 2021. 5.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