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롱꽃과36 계곡을 수놓는~ 모시대 모시대 < Adenophora remotiflora (Siebold &Zucc.) Miq.) > -초롱꽃과- 오늘은 초롱꽃과의 모시대를 만나 보겠습니다. 보통 표기를 모싯대라고 쓰는 경우가 많으나, 국가표준식물목록이나 국가생물종지식정보시스템에 따르면 모시대로 표기하고 있습니다. 계곡이나 산지의 그늘진 곳에서 자라는 .. 2019. 8. 20. 장백폭포와 자주꽃방망이 자주꽃방망이 <Campanula glomerata var. dahurica Fisch.> -초롱꽃과- 오늘은 줄기 끝에 꽃이 마치 방망이처럼 핀다고 하여 이름 지어진 자주꽃방망이로 하루를 열겠습니다. 자주색 꽃이 핀다고 하여 붙여진 자주꽃방망이는 우리나라 중,북부 지방에서 자라는 식물로 알려져 있습니다. 꽃은 7~8.. 2018. 7. 25. 비너스거울속 식물인~ 비너스도라지 비너스도라지 <Triodanis perfoliata (L.) Nieuwl. Amer. Midl. Naturalist > -초롱꽃과- 오늘은 북미가 원산인 비너스도라지로 하루를 열어 보겠습니다. 2009년 제주에서 처음 발견되어 한국식물분류학회지에 보고된 이 비너스도라지는 도라지와 함께 초롱꽃과에 속하지만 '속'은 다른 식물로 도라지.. 2018. 6. 9. 슬픈 역사의 학명을 지닌 금강초롱~ 금강초롱 <Hanabusaya asiatica Nakai> -초롱꽃과- 제주에서 볼 수 없는 식물을 살펴보고 있는데 오늘은 금강초롱 이야기를 해 보고자 합니다. 1900년대 초에 금강산에서 처음 발견되어 마치 청사초롱을 닮은 듯 수줍게 피어나는 야생화입니다. 더위가 가시는 늦여름에 피어나는 이 금강초롱.. 2017. 9. 2. 이름도 상스러운 소경불알~ 소경불알 <Codonopsis ussuriensis (Rupr.et Maxim.) Hemsl.> -초롱꽃과- 오늘은 이름도 상스러운 소경불알을 소개해 드립니다. 다른 이름으로 소경불알더덕, 알더덕, 알만삼, 만삼아재비로도 불리는 아이입니다. 꼭 비슷한 더덕에 비해 비해 뿌리가 구형(球形. 공모양)으로 눈먼사람이 더듬듯이 만.. 2017. 8. 19. 북미가 원산이라고 하는 비너스도라지~ 비너스도라지 <Triodanis perfoliata (L.) Nieuwl. Amer. Midl. Naturalist > -초롱꽃과- 오랫만에 비가 오는 현충일 아침입니다. 오늘은 북미가 원산인 비너스도라지로 하루를 열어 보겠습니다. 2009년 제주에서 처음 발견되어 한국식물분류학회지에 보고된 이 비너스도라지는 도라지와 함께 초롱꽃.. 2017. 6. 6. 이전 1 2 3 4 5 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