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제주의 야생화1462

새우란의 계절~ 새우난초 새우난초 <Common Calanthe> -난초과- 봄이 무르익을 무렵 난초과 아이들중에 보춘화가 피고 난 후 이 새우란이 봄향기를 가득 담고 피어납니다. 오늘은 새우란을 만나 보며 하루를 열어 보는데요. 뿌리줄기가 마치 새우의 등을 닮았다고 하여 붙여진 이름이라지요. 봄향기를 가득 담은 새.. 2017. 4. 24.
한국 특산식물인 모데미풀~ 모데미풀 <Megaleranthis saniculifolia Ohwi> -미나리아재비과- 오늘은 모데미풀이란 식물로 하루를 열어 보겠습니다. 1935년 지리산 운봉 쪽 모데미라는 곳에서 일본인 학자 오이 지사부로[大井次三郞]가 발견한 식물로 모데미풀속 가운데 유일한 종이며 세계에서는 우리나라에서만 자라는 .. 2017. 4. 18.
선괭이눈 이야기~ 선괭이눈 <Chrysosplenium trachyspermum Maxim.> -범의귀과- 고양이를 옛날에는 '괭이'라 불렀다고 하는데,오늘은 선괭이눈을 소개하면서 하루를 열어 봅니다. 괭이눈은 꽃이 지고 열매가 익어갈 때는 씨앗을 감싸던 씨방이 벌어지는데 그 모습이 고양이 눈을 닮았다고 합니다. 이런 이유로 괭.. 2017. 4. 17.
'홀아비'가 붙은 야생화 홀아비꽃대~ 홀아비꽃대 <Chloranthus japonicus Siebold > -홀아비꽃대과- 홀아비꽃대과에 속하는 이 홀아비꽃대는 꽃잎이 없이 꽃술만 핀다고 하여 붙여진 이름이랍니다. 다른 해석으로는 하얗게 피는 흰색꽃이 마치 할아버지가 수염을 깍지 않는 모습을 닮았다 하여 홀아비꽃대란 이름이 붙여졌다는 .. 2017. 4. 15.
청자색의 뚜껑별꽃~ 뚜껑별꽃 <Anagallis arvensis L.> -앵초과- 청자색의 꽃을 피우는 이 뚜껑별꽃은 꽃이 고와 이명으로 '보라별꽃','별봄맞이꽃'등으로도 불리는 아이랍니다. 종소명인 'Anagallis arvensis '는 '해가 뜨면 다시 핀다'는 뜻을 담고 있다고 하는데요. 앵초과인 뚜껑별꽃으로 하루를 열어 봅니다. 뚜껑.. 2017. 4. 14.
귀화식물인 자주광대나물~ 자주광대나물 <Lamium purpureum L.> -꿀풀과- 오늘은 광대나물과 비슷하나 잎과 줄기가 자주색을 띠어 자주광대나물이라 불리는 야생화로 하루를 열겠습니다. 1996년 제주 목초지에서 처음 발견되었다고 하는 기록이 있는데요. 유럽이 원산인 귀화식물이랍니다. 한국잡초학회에 등록되어 .. 2017. 4.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