양치식물76 석송과 식물(석송,뱀톱,다람쥐꼬리)들 석송과 식물들 (석송,뱀톱,다람쥐꼬리) 오늘은 석송과의 식물들에 대해 살펴 보며 하루를 열어 보겠습니다. 바늘 모양의 잎을 가진 상록초로 종종 작은 잎이 솔방울처럼 모이기도 하는데, 각 잎의 아랫부분에는 신장 모양의 포자낭이 있습니다. 한국에는 석송을 비롯하여 11종의 석송속 .. 2018. 11. 23. 덩굴성 양치식물인~ 실고사리 실고사리 <Lygodium japonicum(Thunb.) Sw> -실고사리과- 오늘은 덩굴성 양치식물인 실고사리를 만나 보겠습니다. 양치식물 가운데 유일한 덩굴성 상록 여러해살이풀로 실처럼 가느다란 줄기가 다른 나무나 덤불을 타고 자라는 특성을 가진 실고사리입니다. 돌담을 타고 넘어 자라기도 하고 .. 2018. 8. 27. 나도히초미가 있는 풍경~ 나도히초미 <Polystichum polyblepharum (Roem.) Presl > -면마과- 오늘은 면마과의 나도히초미 사진 한장으로 하루를 열어 보겠습니다. 상록성 다년초로 온대성 양치식물입니다. 2018. 8. 26. 고란초과의 상록성인~ 나사미역고사리 나사미역고사리 <Polypodium fauriei Christ Bull. Herb. > -고란초과- 태풍 솔릭이 지나간 제주에는 크고 작은 생채기를 남겼습니다. 오늘은 나사미역고사리라는 식물로 하루를 열어 보겠습니다. 잎이 마르면 안쪽으로 나사처럼 잎이 말리기 때문에 붙여진 나사미역고사리는 바위나 나무 둥치.. 2018. 8. 25. 희귀식물인 제주의~ 제주고사리삼 제주고사리삼 <Mankyua chejuense B.Y.Sun et al.> -고사리삼과- 오늘은 눈속에 파묻혀 버린 멸종위기식물인 제주고사리삼을 만나 보겠습니다. 여러해살이 상록성 양치식물로 2001년에 학계에 보고된 아이랍니다. 세계적으로 1속 1종인 희귀식물로 학명도 우리나라 최초의 양치식물학자인 박만.. 2018. 2. 5. 난초도 아닌 양치식물인~ 솔잎란(솔잎난) 솔잎란 <Psilotum nudum (L.) P.Beauv.> -솔잎란과- 이번주는 주로 양치식물들을 살펴 보고 있습니다. 솔잎란이란 한자명을 번역한 것이며, 녹색의 잔가지가 솔잎과 비슷한 데서 생긴 이름이라고 합니다. 생김새에서 따온 이름인 것이지요.난초과가 아닌 솔잎란과의 상록성 양치식물인 솔잎.. 2017. 11. 23. 이전 1 ··· 8 9 10 11 12 1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