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자나무과20 울릉도의 왕매발톱나무 왕매발톱나무 <Berberis amurensis var. latifolia Nakai> -매자나무과- 어제의 섬매발톱나무에 이어 오늘은 울릉도의 왕매발톱나무로 하루를 열어 보겠습니다. 지난 5월 초에 다녀온 울릉도에서 만난 왕매발톱나무는 섬매발톱나무로 착각할만큼 너무나 많이 닮아 있습니다. 잎이 둥글거나 달걀.. 2019. 5. 31. 날카로운 가시가 있는~ 섬매발톱나무(53-2) 섬매발톱나무 <Berberis amurensis var. quelpaertensis Nak.> -매자나무과- 오늘은 매발톱나무와 매자나무의 중간형태인 섬매발톱나무를 포스팅해 보겠습니다. 매자나무과에는 이 섬매발톱나무를 비록하여 남천, 매발톱나무,매자나무,당매자가 있습니다. 매발톱나무의 변종으로 보는 시각도 있.. 2019. 5. 30. 꽃말이 특이한~ 남천 남천 <Nandina domestica Thunb.> -매자나무과- 오늘은 열매와 꽃이 고운 남천이란 나무로 하루를 열어 보겠습니다. 제주에는 이틀동안 아주 많은 눈이 내렸습니다.이 남천도 설중으로 담을 수 있는 기회가 생겼습니다. 보통 관상수로도 많이 심고,화분에도 많이 심는 나무인데 설중의 남천.. 2018. 1. 13. <제주에서 만날 수 없는 야생화 2-2> 삼지구엽초~ 삼지구엽초 <Epimedium koreanum Nakai > -매자자무과- 대통령선거일 새벽 아침입니다. 이번주에는 지난주에 육지 출사로 다녀온 이야기로 제주에서 만날 수 없는 야생화를 포스팅하고 있습니다. 오늘은 두번째 이야기로 음양곽이라고도 하는 삼지구엽초를 소개해 드립니다. 한방에서 더욱 .. 2017. 5. 9. <제주에서 만날 수 없는 야생화> 깽깽이풀~ 깽깽이풀 <Jeffersonia dubia Benth. & Hook. f. ex Baker & S. Moore > -매자나무과- 제주에서 만날 수 없는 야생화를 포스팅하고 있습니다.오늘은 깽깽이풀로 아침을 열어 봅니다. 잎보다 먼저 나온 꽃줄기에서 연보라빛꽃이 진 다음에 꽃밥이 마치 해금의 다른말인 일명 '깽깽이'를 닮았다고 하여 .. 2017. 4. 21. 한계령풀 이야기~ 한계령풀 <Littlebeaked Leontice> -매자나무과- 오늘은 한국에서는 분포지가 아주 적은 야생화로,한계령 능선 약수터에서 처음 발견되어 한계령풀이란 이름이 붙은 한계령풀을 소개해 드립니다. 고도 1,000미터가 넘는 북방계식물로 강원도의 설악산,함백산,정선군 등지에서 발견되었다는 .. 2017. 4. 2. 이전 1 2 3 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