귀화식물61 귀화식물인~ 유럽미나리아재비 유럽미나리아재비 -미나리아재비과- 4월이 되면서 봄이 완연하게 무르익는 듯 합니다. 한낮이면 더워서 반팔 티를 입는 모습도 이상하지 않는 요즘입니다. 오늘은 귀화식물인 유럽미나리아재비를 소개해 드립니다. 귀화식물이란 조선시대 말 개화기를 경계로 하여 개화기 이후에 외국에서 들어온 식물들을 말하는데 지금은 그 종 수가 120여종을 넘는다고 합니다. 귀화식물이라는 용어 외에 외래식물이라는 용어도 사용하고 있는데 기존에 인위적, 자연적으로 들어와 생태계에 도태되지 않고 자력으로 토착화된 귀화식물과는 달리 신규로 국내에 의도 또는 비의도적으로 유입된 식물을 외래식물이라고 합니다. 이 유럽미나리아재비는 북아프리카, 아시아, 호주, 북아메리카, 유럽 등에 걸쳐 널리 분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는데 최근에 제주에서도 .. 2022. 4. 22. 귀화식물인~ 세열유럽쥐손이 세열유럽쥐손이 2022. 4. 7. '골드피라밋'이라 불리는 숙근해바라기 숙근해바라기 -국화과- 오늘은 습지에서 만난 숙근해바라기를 소개해 드리는데 이름을 찾느라 고생을 하였습니다. 습지를 찾아 갔는데 뚱딴지 같은 식물이 있어 무언가 살펴 보고 확인 했더니 가을에 피어나는 숙근해바라기로 동정을 하였는데 어디서 왔을까요? 숙군해바라기를 검색해 보면 국가식물표준목록에 올라 있는 애기해바라기와 동일 식물로 검색이 되는데 실제 국가식물표준목록의 애기해바라기를 찾아 보면 학명이 다르다는 걸 알 수 있습니다. 애기해바라기 : Helianthus debilis Nutt. 로 적어 놓고 있는데 자세한 설명이 없습니다. 숙근해바라기 : Helianthus salicifolius A.Dietr. 국립생물자원관의 한반도 생물 다양성 사이트에서 애기해바라기를 검색하여 찾아 보면, 그 내용이 나와 .. 2021. 10. 15. 꽃이 작은 난쟁이~ 난쟁이아욱 난쟁이아욱 -아욱과- 오늘은 난쟁이아욱으로 하루를 열어 보겠습니다. 식물 이름에 작다라는 의미로 접두어가 붙는데 '각시', '좀', '난쟁이' 등이 대표적입니다. 다만 이는 식물들과의 상대적 개념이라 어느만큼 작은지는 그 식물들의 특성을 살펴야 할 것입니다. 꽃은 초여름인 6월경부터 피기 시작하는데 꽃잎에는 자색의 줄이 선명하고 꽃자루가 있고 애기아욱보다 꽃이 2배 정도 큰 것이 특징입니다. 이 난쟁이아욱의 꽃은 꽃잎이 서로 붙어 있지만 아래에 보시는 애기아욱의 꽃잎은 떨어져 있어 꽃이 피면 아욱과의 두 종의 비교는 가능할 것 같습니다. 이 난쟁이아욱과 비슷한 식물이 있는데 바로 애기아욱입니다. 우리가 보통 해안변의 올레길을 걷다가 만나는 아욱과의 식물은 대부분.. 2021. 7. 5. 도로변이나 목초지의 큰김의털 큰김의털 -벼과- 오늘은 어제의 벼과의 방울새풀에 이어 제주의 중산간 도로변이나 목초지에 많이 자라는 벼과의 큰김의털을 만나 보겠습니다. 제주도의 중산간 도로변에는 어김없이 이 큰김의털로 가득차 있습니다. 벼과의 생태계교란식물인 물참새피보다 이 큰김의털의 확산이 더 많은 것으로 추정됩니다. 유럽과 서아시아가 원산인 이 큰김의털은 대표적인 북방형 목초로 목장의 목초나 녹비로 들어와 야생화되어 어디에서든 잘 자라는 귀화식물이 되었습니다. 이러한 귀화식물은 대표적으로 요즘 노란 꽃을 피우는 큰금계국과 같이 너무나 많이 번져 있어 문제를 일으키기도 합니다. 오름 근처의 연못가 근처에까지 번져 있는 큰김의털은 우리나라 전국적으로 퍼져 있는 귀화식물인데 생물다양성법(생물다양성 보전 및 이용에 관한 법률 제2조)에서.. 2021. 6. 2. 잡초성 귀화식물인~ 솔잎해란초 솔잎해란초 -질경이과- 2012년에 미기록 귀화식물로 보고된 이 솔잎해란초는 번식력이 아주 강한 잡초로 취급을 받고 있습니다. 솔잎해란초는 제가 처음 사진을 담았던 기억으로는 현삼과로 기억하는데 학회지를 다시 검색하여 보니, Linaria에서 Nuttallanthus속으로 바뀌면서 질경이과라고 하는데 아무튼 아마추어로서는 숙제입니다. 한국식물분류확회지의 논문에 따르면 이 솔잎해란초를 다음과 같이 기술하고 있습니다. '4~6월 개화 지름 5밀리 정도의 꽃이 줄기 끝에 총상꽃차례로 달리며 줄기가 계속 자란다. 해란초속의 종들과 비교하여 화관은 연청색에서 연자색,4~7개의 능선을 가지는 종자로 그 특징을 가지고 있다.'고 기술하고 있습니다. 줄기가 길게 올라와 끝에서 꽃을 피우고 있습니다. 바닷가에서 자라는 .. 2021. 4. 21. 이전 1 2 3 4 5 6 7 ··· 1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