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여행,식물,풍경/식물나라1364

그리움의 꽃말을 가진 갯쑥부쟁이 갯쑥부쟁이 <Aster hispidus Thunb.> -국화과- 성산일출봉 근처에 해국과 이 갯쑥부쟁이가 어울려 피어 있는데, 갈수록 개체수가 줄어 드는 것 같습니다. 우도를 배경으로 담아 본 갯쑥부쟁이입니다. 종달리 해안가에서 담은 갯쑥부쟁이입니다. 바닷가 근처에 질펀하게 피어 있더랍니다. 일.. 2013. 10. 30.
노란 꽃망울의 털머위 털머위 <Farfugium japonicum Kitamura > -국화과- 털머위라는 이름은 나물로 먹는 머위와 비슷하고 줄기와 잎 뒷면에 털이 많다 하여 붙여졌다고 합니다. 그러나 머위는 머위속(Petasites)인데 비해 털머위는 털머위속(Farfugium)으로 서로 다른 계보를 가졌다고 합니다. <-이성권의 제주의 풀꽃.. 2013. 10. 29.
바다를 향한 그리움~~해국 해국 <Aster spathulifolius Maxim.> -국화과- 해국의 계절이 돌아왔습니다. 바다를 향한 그리움을 안고 그토록 사무치는 정을 안고 바다를 향해 피어나고 있네요. 해안가의 해국이 우리가 찾아 왔음을 아는 듯~ 활짝 피어 바위틈에서 고생한 고단한 삶을 나누려는 듯~ 몸부림을 하고 있습니다.. 2013. 10. 28.
가을꽃의 산박하 산박하 <Isodon inflexus (Thunb.) Kudo> -꿀풀과- 가을꽃을 대표하는 많은 들꽃들이 있지만 이 아이도 대표격이라 할 수 있답니다. 보라색,자주색,혹은 가끔가다 흰색꽃도 피우는 산박하는 꿀풀과의 들꽃이랍니다. 산에서 나는 박하란 뜻으로 산박하란 이름이 붙었지만, 일반적으로 우리가 .. 2013. 10. 27.
약용식물의 대표주자인~ 천궁 천궁 <Cnidium officinale Makino > -산형과- 한방에서 널리 알려진 식물인데요. 자연상태의 천궁은 잘 볼수가 없지요. 한방에서는 당귀와 함께 쓰여 피부미용이나,발모치료제로 많이 쓰인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여성들에게는 특히,어혈이 풀려 산후조리에 탁월하다고 나와 있습니다. 나이가.. 2013. 10. 26.
빨간열매가 고운 방울비짜루 방울비짜루 <Asparagus oligoclonos Maxim.> -백합과- 방울비짜루가 빨간 열매를 달고 피어 있습니다. 열매가 아름다운 아이지요. 대전에 있는 한밭수목원표 아이랍니다. 수목원에 갔더니 이 아이들이 열매를 맺고 피어나 곳곳을 자리잡고 있네요. 토요일 아침입니다. 오늘은 한라산 단풍 구.. 2013. 10. 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