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여행,식물,풍경/난초378

고목에 피어난~ 석곡(石斛) 석곡 -난초과- 난을 분류하는 기준은 잎의 모양이나,꽃의 화색,피는 모양에 따라 달라지지만, 이 석곡은 화색이 하얀바탕에 살짝 분홍색이 있어서 더더욱 아름다운 것 같습니다. 오늘은 석곡으로 하루를 열어 봅니다. 속명인 덴드로비움 Dendrobium(덴드로비움)은 그리스어의 "나무"라는 뜻과 '산다' 라는 뜻의 합성어로 '나무 위에서 산다' 는 데서 유래 되었다고 합니다. 석곡을 한자로 쓰면 '石斛'이라고 하는데 '돌' 석자에 '휘','헤아릴' 곡인데 석곡의 이름 유래에 대해 자료를 찾아 보니 한자어에서 유래되었다는 이야기만 나올 뿐 '곡'자의 정확한 설명은 찾아보기가 어렵습니다. 북한에서는 이 석곡을 '석곡란'이라 부르는데 난초를 강조하기 위.. 2021. 5. 10.
숲속의 노란 천사~ 금난초 금난초 -난초과- 오늘은 금난초를 만나 보겠습니다. 5월이 되면 난초과의 식물들도 하나 둘 올라와 여름을 준비하고 있습니다. 이 금난초는 산 속 깊은 응달에서 자라며, 선명한 노란색꽃이 아름답기 때문에 붙여진 이름으로 비슷한 시기에 은대난초,은난초와 같이 피어납니다. 우리나라 중부 이남의 숲속에서 자라며 일본,중국에서도 자생하는 난초과의 식물로, 꽃이 필때면 활짝 열리지 않고 반쯤 정도 개화되는 것이 특징이라면 특징이지요. 완전 개화된 아이를 만나기가 쉽지 않은 것이 사실입니다. 풀 숲 사이에 금색으로 치장한 금난초가 자기를 바라봐 달라는 듯 서 있습니다. 앞서 있는 고사리와 키재기를 하듯 자라고 있는 금난초의 모습이 참 곱습니다. 잘 벌어지지 않는 금난초의 모습을 접사해 보았습니다. 여러 금난초를 만난.. 2021. 5. 8.
숲속의 하얀 천사~ 은난초 은난초 -난초과- 오늘은 어제의 아기쌍잎난초에 이어 은난초를 소개해 드리며 하루를 열어 보겠습니다. 깊은 숲속의 응달진 곳에서 피어나는 이 은난초는 5월에 줄기 끝에 3~10개의 이삭모양으로 꽃이 피어납니다. 금난초와 비슷한 시기에 피어 나는 이 은난초는 속살을 보기가 참 어렵지요. 꽃이 활짝 벌어지지 않기 때문인데요. 금난초보다도 더 벌어지지 않는 것 같습니다. 숲속을 환하게 비춰주고 있는 은난초의 모습이 참으로 귀엽습니다. 이 은난초와 비슷한 아이로 포기 전체에 털 같은 돌기가 나고, 밑의 포가 꽃차례보다 긴 은대난초도 있습니다. 은대난초속 식물인 은난초와 은대난초, 아주 작은 꼬마은난초의 비교표를 만들어 보았습니다. 제주에서 은대난초속 식물중에는 꼬마은난초가 가장 빠르게 피어나고 그 뒤를 이어 금난.. 2021. 5. 7.
아주 작디 작은 난초~ 아기쌍잎난초 아기쌍잎난초 -난초과- 오늘은 아주 작은 난초인 아기쌍잎난초로 하루를 열어 드립니다. 일본과 대만에 분포하는 것으로 알려진 이 아기쌍잎난초는 한국식물분류학회지에 2013년에 발표되면서 알려진 식물입니다. 난초과의 식물중에 가장 작다고 알려진 영아리난초가 있는데 이 아기쌍잎난초도 영아리난초만큼이나 작은 듯 한데 영아리난초보다는 담을만 한 것 같습니다. 국명은 쌍잎난초보다 귀엽고 작아서 아기쌍잎난초로 신칭하였다고 하는데 작은 꽃대에 마주보는 쌍잎이 인상적입니다. 란국식물분류학회지 논문에 실려 있는 이 아기쌍잎난초의 설명을 보면, ' 이 종은 식물체가 작으며 입술꽃잎에 꽃술대를 둘러싸는 소열편과 T자 모양의 신장된 육상체가 있고 꽃이 이른 봄에 피는 특징에 의해 근연종들인 쌍잎난초 및 털쌍잎난초와 구별된다.'.. 2021. 5. 6.
금빛으로 물든~ 금새우란 금새우란 -난초과- 어린이날, 오늘은 금새우란으로 하루를 열어 봅니다. 땅속줄기인 알뿌리가 새우등를 닮았고 금색으로 피어나서 붙여진 이름이라고 하지요. 새우난초가 피어날 즈음 같이 피는 금새우난초는 금색으로 치장을 하여 고운 모습을 보여 주고 있습니다. 새우란(Calanthe)은 1821년 영국의 로버트 브라운에 의하여 명명된 것으로 그 어원은 그리스어의 “아름다운 꽃”에서 유래되었다고 합니다. 금색으로 치장하여 노란꽃을 피운다고 하여 금새우란이란 이름이 되었습니다. 우리나라에는 새우난초, 금새우난초,섬새우난초, 여름새우난초 등 4종이 분포하며 비교적 따뜻한 지역, 남부지역과 도서지역에서 자생한다고 합니다. 학명인 Calanthe는 그리스어 kalos (아름답다) + anthos(꽃) 의 합성어라고 하는.. 2021. 5. 5.
난초의 명품~ 새우난초 새우난초 -난초과- 봄이 무르익을 무렵 난초과 아이들중 보춘화가 피고 난 후 이 새우란이 봄향기를 가득 담고 피어납니다. 뿌리줄기가 마치 새우의 등을 닮았다고 하여 붙여진 이름입니다. 봄향기를 가득 담은 새우란으로 아침을 열어 봅니다. 우리나라에는 새우난초, 금새우난초,섬새우난초, 여름새우난초 등 4종이 분포하며 비교적 따뜻한 지역, 남부지역과 도서지역에서 자생한다고 합니다. 새우란의 유래는 뿌리를 캐면 마디 모양이 새우등과 비슷하다하여 새우란이라 불리며 학명은 Calanthe 그리스어 kalos (아름답다) + anthos(꽃) 의 합성어라고 합니다. 새우란(Calanthe)은 1821년 영국의 로버트 브라운에 의하여 명명된 것으로 그 어원은 그리스어의 “아름다운 꽃”에서 유래되었다고 합니다. 그 어원.. 2021. 4. 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