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강초롱꽃 < Hanabusaya asiatica Nakai>
-초롱꽃과-
지난주 4일동안 육지출사를 다녀왔습니다.
오늘은 금강초롱 이야기를 해 보고자 합니다.
1900년대 초에 금강산에서 처음 발견되어 마치 청사초롱을
닮은 듯 수줍게 피어나는 야생화입니다.
더위가 가시는 늦여름에 피어나는 이 금강초롱꽃은 만난 지 한참 되었지만
몇 년만에 육지출사를 가면서 만나고 왔습니다.
![](https://blog.kakaocdn.net/dn/bxSwD4/btsJg3kZdeg/1uFXKtDIlCnpPltLfcu1Kk/img.jpg)
금강초롱꽃
금강초롱꽃의 학명은 Hanabusaya asiatica Nakai
금강초롱의 학명의 속명인 Hanabusaya
하나부사 요시모토, 조선총독부의 초대공사의 이름입니다.
종소명은 아시아에서 발견된 의미를 가지고 있습니다.
![](https://blog.kakaocdn.net/dn/bTBfaI/btsJhMw4Nn4/R9WKneMGT26mhQD5iF9p6k/img.jpg)
해방후에는 하나부사의 한자명을 그대로 따라 적으면서
'화방초' 라는 이름으로 불렸다고 나무위키에서는 적고 있습니다.
화방초를 검색하면 이 금강초롱꽃의 비표준어라고 검색이 됩니다.
![](https://blog.kakaocdn.net/dn/OWBAw/btsJg4RLvbN/Y5xubTtkze4yOFXa4Gf3IK/img.jpg)
보통 학명은 그 식물을 처음 발견한 사람이 명명하기 마련인데,
이 식물을 처음 발견한 사람은 나까이(Nakai)라는 일본 식물학자입니다.
그는 자신을 우리나라의 식물을 조사하도록 지원해준 하나부사에게
보은의 뜻으로 이 소중한 우리 특산 식물의 속명을 이렇게 지은 것이지요.
![](https://blog.kakaocdn.net/dn/cgBEE4/btsJfTjk083/5hHkoKJfPnY6LfOczlKgb1/img.jpg)
금강초롱은 전 세계에서 우리나라에서만 자라는 우리나라 특산식물이라고 합니다.
이 식물 한 종만 특산식물이 아니고 금강초롱이 속한 속(屬, Genus)
즉, 그 가족 모두 우리나라 특산인 우리 식물이면서, 분포지역 자체가 좁아
세계적인 희귀식물이라 할 수 있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그런 귀한 식물의 이름에도 이렇게 치욕의 역사가 스며들어 있습니다.
![](https://blog.kakaocdn.net/dn/bHmfsM/btsJhYDZC7E/TfY1UKgCNDljXAWN5SoxV0/img.jpg)
금강산에서 처음 발견되어 청사초롱을 닮아 붙여진 이 금강초롱은 꽃이 아름다워
2010년 서울에서 열렸던 G20 정상회의에서 로고로 쓰였던 우리의 소중한 야생화입니다.
![](https://blog.kakaocdn.net/dn/mKu0Q/btsJhFqqSS1/cA4k7tgNVlAgpQguAtAkSk/img.jpg)
이 금강초롱의 꽃말이 꽃이름처럼 예쁜 '각시와 신랑',청사초롱'이라고 합니다.
청사초롱 불 밝히고 각시와 신랑이 곱게 살아가라는 의미가 담긴 것은 아닐까요?
오늘도 고운 하루 되세요.~
![](https://blog.kakaocdn.net/dn/cxDFja/btsJgAcyOco/FVdNLjjXEUwDHv4bbuVKx1/img.jpg)
'여행,식물,풍경 > 초본' 카테고리의 다른 글
별꽃중 꽃의 크기가 큰~ 왕별꽃 (11) | 2024.09.02 |
---|---|
'어부의 꽃' 이라는~ 참닻꽃 (13) | 2024.08.29 |
숲속의 작은 보석~ 덩굴용담 (8) | 2024.08.27 |
밭에서 만난 잡초~ Indigofera linnaei (23) | 2024.08.22 |
실같이 가는~ 실새삼 (24) | 2024.08.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