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강초롱꽃 < Hanabusaya asiatica Nakai>
-초롱꽃과-
지난주 4일동안 육지출사를 다녀왔습니다.
오늘은 금강초롱 이야기를 해 보고자 합니다.
1900년대 초에 금강산에서 처음 발견되어 마치 청사초롱을
닮은 듯 수줍게 피어나는 야생화입니다.
더위가 가시는 늦여름에 피어나는 이 금강초롱꽃은 만난 지 한참 되었지만
몇 년만에 육지출사를 가면서 만나고 왔습니다.

금강초롱꽃
금강초롱꽃의 학명은 Hanabusaya asiatica Nakai
금강초롱의 학명의 속명인 Hanabusaya
하나부사 요시모토, 조선총독부의 초대공사의 이름입니다.
종소명은 아시아에서 발견된 의미를 가지고 있습니다.

해방후에는 하나부사의 한자명을 그대로 따라 적으면서
'화방초' 라는 이름으로 불렸다고 나무위키에서는 적고 있습니다.
화방초를 검색하면 이 금강초롱꽃의 비표준어라고 검색이 됩니다.

보통 학명은 그 식물을 처음 발견한 사람이 명명하기 마련인데,
이 식물을 처음 발견한 사람은 나까이(Nakai)라는 일본 식물학자입니다.
그는 자신을 우리나라의 식물을 조사하도록 지원해준 하나부사에게
보은의 뜻으로 이 소중한 우리 특산 식물의 속명을 이렇게 지은 것이지요.

금강초롱은 전 세계에서 우리나라에서만 자라는 우리나라 특산식물이라고 합니다.
이 식물 한 종만 특산식물이 아니고 금강초롱이 속한 속(屬, Genus)
즉, 그 가족 모두 우리나라 특산인 우리 식물이면서, 분포지역 자체가 좁아
세계적인 희귀식물이라 할 수 있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그런 귀한 식물의 이름에도 이렇게 치욕의 역사가 스며들어 있습니다.

금강산에서 처음 발견되어 청사초롱을 닮아 붙여진 이 금강초롱은 꽃이 아름다워
2010년 서울에서 열렸던 G20 정상회의에서 로고로 쓰였던 우리의 소중한 야생화입니다.

이 금강초롱의 꽃말이 꽃이름처럼 예쁜 '각시와 신랑',청사초롱'이라고 합니다.
청사초롱 불 밝히고 각시와 신랑이 곱게 살아가라는 의미가 담긴 것은 아닐까요?
오늘도 고운 하루 되세요.~

'여행,식물,풍경 > 초본' 카테고리의 다른 글
별꽃중 꽃의 크기가 큰~ 왕별꽃 (11) | 2024.09.02 |
---|---|
'어부의 꽃' 이라는~ 참닻꽃 (13) | 2024.08.29 |
숲속의 작은 보석~ 덩굴용담 (8) | 2024.08.27 |
밭에서 만난 잡초~ Indigofera linnaei (23) | 2024.08.22 |
실같이 가는~ 실새삼 (24) | 2024.08.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