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한국의 양치식물47

바위에 붙어 자라는~ 고란초 고란초 -고란초과- 오늘은 노래에도 나와 있는 고란초를 소개해 드리겠습니다. 이름에서 알 수 있듯 충남 부여의 고란사에서 처음 발견되었다고 하여 붙여진 이름입니다. 고사리목 상록성 식물로 그늘진 바위틈이나 낭떠러지에 잘 자라는 식물입니다. 이 고란초와 관련하여, 옛날 백제 의자왕이 어느 날 부여 낙화암 절벽 중간에 있는 고란사에 들렀다가 그곳의 약수를 마시게 되었다고 합니다. 먹어보니 물맛이 아주 좋아 신하에게 고란사의 약수를 매일 떠오라고 하였습니다. 그런데 가만히 생각해보니 아무 물이나 가져와서 약수라고 하면 되는 것이 아닌가. 그래서 다시 신하에게 명령하였습니다. “꼭 고란초 한 잎을 띄워서 가져오게 하라.” 고란사 근처에는 이 고란초가 많이 서식하고 있었는데 고란초라는 이름은 그때 생겼다고 전해지.. 2023. 12. 5.
단풍이 물들어가는~ 넉줄고사리 넉줄고사리 -넉줄고사리과- 숲길을 걷다가 파란 하늘이 좋아 고개를 들어 하늘을 보다가 나무 위에 단풍이 물든 고사리를 만났습니다. 바위나 나무 등걸에 붙어 자라는 넉줄고사리였는데 가을을 지니고 있었습니다. 한방에서는 ‘골쇄보’라고 알려져 있으며, 신장을 보하고 상처가 났을 때 약재로 쓴다고 하는 이 넉줄고사리는 관상용으로도 많이 키우는 고사리 종류로 제주의 식당에서도 가끔 볼 수 있습니다. 뿌리줄기가 옆으로 기면서 잎이 계속해서 나오며 바위나 나무껍질에 붙어서 자라는 특징이 있습니다. 나무만 단풍이 드는 것이 아니라 고사리 종류도 이렇게 단풍이 물들어 갑니다. 숲 속에서는 가을을 머금고 있고 곶자왈이나 숲에는 각종 행사가 많은 요즘입니다. 넉줄고사리로 열어 보는 일요일 아침입니다. 오늘도 고운 하루 되세요. 2023. 10. 15.
상록성 양치식물인~ 콩짜개덩굴 콩짜개덩굴 -고란초과- 곶자왈이나 깊은 숲 속, 제주의 계곡에서 많이 만날 수 있는 콩짜개덩굴을 만나 봅니다. 봄이 되면서 곶자왈을 찾았는데 오래된 나무나 나무 아래의 바위에는 상록성인 콩짜개덩굴의 포자엽이 기다란 모습으로 반겨 주고 있었습니다. 콩짜개덩굴이라는 이름은 콩을 쪼개 놓은 것 같은 모습을 하고 있어 붙여진 이름으로 겨울에도 푸르름을 유지하고 있는 상록성 양치식물입니다. 포자낭이 달리는 포자엽은 주걱모양으로 끝이 둥글며 밑부분이 좁아져서 길이 1-3cm의 대로 되고 주맥이 두드러져 양쪽에 포자낭군이 달립니다. 이 콩짜개덩굴과 아주 비슷한 콩짜개란이 있는데 콩짜개덩굴은 양치식물인데 반하여 콩짜개란은 난초과의 식물입니다. 콩짜개덩굴과 콩짜개란의 비교표를 만들어 보았습니다. 콩짜개란은 꽃이 피지만 .. 2022. 3. 10.
양치식물인~ 나도히초미 나도히초미 -면마과- 중산간에 눈이 와서 작은 오름을 올라가는 길에 만난 나도히초미에도 눈이 쌓여 지나가는 제게 사진 한 번 담아 달라는 부탁이라도 하듯 고운 모습을 하고 있습니다. 'polyblepharum' 종명은 `주변에 털이 있다`는 뜻으로 깃조각 가장자리에 까락 같은 톱니가 있는데서 유래하였는데 열편 끝에는 가시같은 모습의 피침이 나와 있습니다. 나도히초미의 다른 이름으로 '나도관중', '개관중' 이라고 하는데 여기서 히초미라는 이름이 관중을 의미합니다. 다만, 히초미의 정확한 어원을 찾을 수가 없습니다. 나도히초미의 포자낭군을 담아 본 사진입니다. 포자낭군은 잔깃조각 상반부에 달리며 포막은 둥글고 지름 1mm 정도입니다. 우리가 흔히 만나는 면마과 식물인 관중, 나도히초미, 곰비늘고사리의 비교.. 2022. 2. 11.
눈소식에 놀란~ 뱀톱 뱀톱 -석송과- 상록성 다년초로 온대성 양치식물인 이 뱀톱은 다람쥐꼬리와 비슷하게 생겨 혼동을 일으키는 식물인데 눈이불을 뒤집어 쓰고 있습니다. 뱀톱은 이름에서 알 수 있듯 잎의 거치가 발달해 마치 톱날처럼 되어 있습니다. 포자낭은 잎겨드랑이에 주로 달리지만 대가 없으며 콩팥모양이고, 가로로 갈라져서 포자가 흩어져 나오는데 윗부분 끝의 살눈이 떨어지면 싹이 돋고 짙은 녹색이라고 도감에서는 설명하고 있습니다. 본초명으로는 蛇足草,千層塔이라고 불리는데 마찬가지 '뱀의다리'라는 의미를 가지고 있어 뱀과 연관되어 이름이 붙여진 것으로 해석하고 있습니다. 잎은 모여나기하며 옆으로 퍼지거나 밑으로 처지고 좁은 피침형으로서 선명한 녹색으로 다람쥐꼬리와 뱀톱의 구별 포인트는 바로 잎 끝에 있습니다. 뱀톱은 잎 끝에 거.. 2022. 2. 10.
설중의 제주고사리삼 제주고사리삼 -고사리삼과- 오늘은 눈속에 파묻혀 버린 멸종위기식물인 제주고사리삼을 만나 보겠습니다. 여러해살이 상록성 양치식물로 2001년에 학계에 보고된 식물입니다. 세계적으로 1속 1종인 희귀식물로 학명도 우리나라 최초의 양치식물학자인 박만규 교수(1906~1977)와 제주의 이름을 따서 :Mankyua chejuense로 붙여진 식물로 제주특산속 원시 고사리 형태를 보존하는 식물입니다. 양치식물인 이 제주고사리삼은 한반도 고유종으로 뿌리는 짙은 갈색이며 옆으로 길게 발달하는데 포자가 들어 있는 포자낭은 두툼한 조직에 묻혀 2줄로 배열된다고 설명하고 있습니다. 고사리삼과의 제주고사리삼속에 속한 이 식물은 무려 6천만년전에 살았던 식물이라고 합니다. 잎은 두터운 질감을 가지며 잎 주위에는 가는 톱니가 .. 2022. 1. 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