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한국의 야생화1474

앵초[櫻草] 이야기~ 앵초 < Primula sieboldi E. Morr.> -앵초과- 오늘은 정말 작고 귀여운 앵초 이야기로 하루를 열어 보겠습니다. 이름도 귀여운 앵초는 한자의 '櫻草'를 보면 알 수 있 듯 벚꽃과 앵두나무꽃을 닮았다고 하여 붙여진 이름입니다. 꽃모양이 마치 풍차와 비슷하여 풍륜초,풍차초,취란화,연앵초,앵.. 2016. 5. 6.
'졸음나물'이라는 조름나물~ 조름나물 <Menyanthes trifoliata L.> -조름나물과- 어린이날 아침,그리고 연휴가 이어지는 첫 날입니다. 제주에서 볼 수 없는 야생화를 포스팅해 보고 있습니다.오늘은 이름도 재미있는 조름나물로 하루를 열어 보겠습니다. 조름나물이란 이름은 먹으면 잠이 온다는 '졸음나물'에서 온 이름.. 2016. 5. 5.
'절제된 아름다움'의 노랑무늬붓꽃~ 노랑무늬붓꽃 < Iris odaesanensis Y.Lee > -붓꽃과- 며칠동안 뭍으로 출사를 다녀 왔습니다.오늘부터는 제주에서 볼 수 없는 야생화들을 포스팅해 보겠습니다. 그 첫번째로 노랑무늬붓꽃을 만나 보겠습니다. 1974년에 오대산에서 처음 발견되었다고 하는 이 노랑무늬붓꽃은 이름에서 알 수 .. 2016. 5. 4.
바위틈에서 피어난 암대극~ 암대극 <Euphorbia jolkini Boiss> -대극과- 대극과의 식물들을 포스팅하고 있는데요. 오늘은 대극과의 암대극을 만나 보겠는데요.바위틈에서 자란다고 하여 '갯바위대극','갯대극'이라 불린답니다. 요즘 한창 제주의 바닷가를 수놓고 있는 암대극 이야기로 하루를 열어 보겠습니다. 꽃이 필.. 2016. 5. 2.
바닷가에서 잘 자라는 흰대극~ 흰대극 <Euphorbia esula L.> -대극과- 대극과의 식물들을 살펴보고 있습니다.오늘은 흰대극을 만나 보겠습니다. 대극과의 식물은 독성이 있다고 하는데요.대극이란 이름도 뿌리가 맵고 쓰기 때문에 먹으면 목구멍을 몹시 자극한다는 뜻의 '大戟'(대극)에서 왔다고 합니다.그러면 흰대극의.. 2016. 5. 1.
이름에 관한 오해를 담은 등대풀~ 등대풀<Euphorbia helioscopia L.> -대극과- 오늘부터는 대극과의 식물 몇가지를 소개해 보겠습니다. 이 등대풀의 줄기를 자르면 유액 성분이 나오는데 독성이 있다고 하네요. 대극이란 이름도 뿌리가 맵고 쓰기 때문에 먹으면 목구멍을 몹시 자극한다는 뜻의 '大戟'(대극)에서 왔다고 합니.. 2016. 4. 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