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제주의 야생화1461

인고의 세월을 기다려 피운 해국~ 해국 <Aster spathulifolius Maxim.> -국화과- 오늘은 아직까지 남아 있는 해국을 담아 왔습니다. 이제는 서서히 꽃이 지기 시작하는 시기인데, 지난 일요일 날씨가 좋아 나선 길에 아직도 남아 있는 해국을 담아 왔답니다. 이르면 늦여름에 피어나고 초겨울까지 볼 수 있는 이 해국의 꽃말이 .. 2015. 11. 19.
송이 사이에서 피어난 한라고들빼기~ 한라고들빼기 <Lactuca hallaisanensis H.Lev.> -국화과- 오늘은 여름에 담아 온 한라고들빼기를 만나 보겠습니다. 포스팅 한 적이 없는 식물을 만나 보고 있는데,해발 1300미터 이상의 고산에 붉은색을 띠는 화산석 사이에서 많이 자생하는 것으로 알려진 한라고들빼기입니다. <20150822> 노.. 2015. 11. 17.
'만추의 향연'이라는 왕갯쑥부쟁이~ 왕갯쑥부쟁이 <Aster magnus Y.N.Lee &C.S.Kim > -국화과- 오늘은 바닷가의 왕갯쑥부쟁이를 만나 봅니다. 어제의 까실쑥부쟁이에 이어 바닷가의 왕갯쑥부쟁이를 모셔 왔는데,일반 갯쑥부쟁이보다 꽃이 더 크며, 쑥부쟁이와 달리 개쑥부쟁이는 잎 가장자리에 톱니가 거의 없는 점이 다르며, 이.. 2015. 11. 16.
가을국화인 까실쑥부쟁이~ 까실쑥부쟁이 <Aster ageratoides Turcz. var. ageratoides > -국화과- 오늘은 까실쑥부쟁이로 하루를 열어 보겠습니다. 잎이 까칠까칠하고 거칠어서 쑥부쟁이 앞에 '까실'이 붙어 이름지어진 까실쑥부쟁이랍니다. 쑥부쟁이는 굶주린 동생들을 위해 쑥을 캐러 다녔다는 ‘불쟁이(대장장이)의 딸.. 2015. 11. 15.
오름자락의 산박하 산박하 <Isodon inflexus (Thunb.) Kudo> -꿀풀과- 제주에는 어제부터 내린 비가 오늘 아침까지 이어지는 새벽녘입니다. 가을꽃을 대표하는 많은 들꽃들이 있지만 이 산박하도 가을꽃을 대표하는 아이로 알려져 있습니다. 보라색,자주색,혹은 가끔가다 흰색꽃도 피우는 산박하는 꿀풀과의 들.. 2015. 11. 8.
오름 자락의 세잎승마~ 세잎승마 <Cimicifuga heracleifolia var. bifida Nakai > -미나리아재비과- 오늘은 그동안에 담아 왔던 야생화를 하나 둘 꺼내 보겠습니다. 포스팅이 없었던 야생화와 나무열매로 만나 보겠는데요.그 시작으로 세잎승마를 만나 봅니다. 승마라는 이름은 (升摩)는 양기를 돋우는(升) 삼 잎(麻)이라.. 2015. 11.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