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블완13 바위에 붙어 자라는~ 바위솔 바위솔 Orostachys japonicus A. Berger>-돌나물과- 오늘은 바위솔을 소개해 드리며 하루를 열어 보겠습니다.오래된 사찰등의 기와 지붕에 특히 잘 자라서 와송,오송, 지붕지기 등의 이름이 지어진 바위솔은바위에 붙어 자라난다고 하여 바위솔이라는 이름이 붙여졌습니다. 가을 야생화 중 바위가 붙은 식물이 있습니다.바위에 떡 하니 피어 있어서 이름이 붙여진 바위떡풀이 있는데 이 바위솔도바위에 붙어 자라는 특성 때문에 붙여진 이름입니다. 다만, 자연에서 자라는 바위솔은 관상용이나 약용으로 많이캐어 가서 만나기가 점점 어려워지는 것이 사실입니다. 줄기잎은 다닥다닥 달리며, 녹색이지만 종종 붉은빛을 띠고, 피침형, 잎자루는 없습니다.꽃은 10~11월에 줄기 끝에서 총상꽃차례에 빽빽하게.. 2024. 11. 15. 풀감으로 사용했던~ 닥풀 닥풀 Hibiscus manihot L.>-아욱과- 우리 주변에서 관상용으로 많이 볼 수 있는 꽃이 무엇일까?11월에도 꽃이 피어 있는 닥풀을 만났습니다.닥풀은 한지를 만들때 풀감으로 사용하였던 식물입니다. 이 닥풀을 보고 제주의 해안가에서 많이 볼 수 있는 황근꽃과 아주 닮아 있다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황근꽃과 비슷한 이 닥풀은 줄기는 둥근 기둥 모양이고 곧게 서며 가지를 치지 않으며 관상용·섬유재·제지용·식용·약용으로 이용되고 있는데 제주에서는 일부 지역에 관상용으로 많이 식재하고 있습니다. 닥풀의 잎은 잎자루가 길고 잎몸이 손바닥 모양으로깊게 갈라지는 특징을 가지고 있습니다. 닥풀을 검색해 보니 최근 일본에서는 이 닥풀을 이용하여 식자재로 사용한다고 하는 뉴스가 검색되기도 합니다.. 2024. 11. 13. 11월에 꽃을 피우는 나무~ 송악 송악 Hedera rhombea (Miq.) Bean>-두릅나무과- 제주에는 올레길을 가다 보면 어디에서든지 만날 수 있는 정겨운 밭담, 그리고 경계석인 돌담, 곶자왈이나 한라산 둘레길에서 만날 수 있는 잣성 등돌과 관련하여 많은 이야기들이 회자되곤 하는데 오늘 만나는 송악은 돌담이나 밭담을감고 올라가 돌담이나 밭담의 조연 역할을 하는 경우가 많이 있습니다. 송악의 잎은 짙은 녹색으로 반질반질한 윤기가 있습니다.북한에서는 이 송악을 두고 '담장나무'라고 하는데 담장을 타고 올라가는 습성 때문인가 봅니다. 아이비란 이름의 식물은 서양 송악인데 잎 모양이 우리의 송악과 거의 비슷합니다.아이비(ivy)는 두릅나무과의 송악속의 식물 전체를 의미하고우리가 보통 담쟁이덩굴을 영명으로 'boston i.. 2024. 11. 13. 천아계곡의 단풍나무 단풍나무 Acer palmatum Thunb. >-단풍나무과- 가을이 깊어지면서 단풍나무에도 가을색이 물들어지나가는 산행객들의 발길을 붙잡아 놓고 있습니다.지난 주말에 천아계곡을 찾았습니다. 지금은 끝까지 들어가지 못하고 임시주차장에 차를 주차하고 걸어서 들어가야 합니다. 단풍이 물들면 붉은색 또는 노란색을 띠게 되는데 붉은색은 카로티노이드(carotinoid),노란색은 크산토필(xanthophyll), 짙은 붉은색과 보라색,하늘색 등은 안토시아닌(anthocyanin)이 들어 있기 때문입니다. 단풍이라는 이름은 어디에서 왔을까요?丹楓 : 한자을 그대로 차용하여 가을에 잎이 붉게 물들고 가는 가지가 바람에 흔들리는모양을 나타낸 것에서 유래하였다고 합니다. 4~5월이 되면 단풍나무에 꽃.. 2024. 11. 12. 11월에 꽃이 피는 나무~ 보리밥나무 보리밥나무 Elaeagnus macrophylla Thunb>-보리수나무과- 오늘은 바닷가 산지에 자라는 상록 덩굴나무로 줄기는 비스듬히 자라거나나무를 타고 올라가는 보리밥나무를 만나 보겠습니다.어린 가지는 은백색과 갈색의 별모양털이 난다고 하며 꽃은 10~11월에 피는데제주에서는 12월까지도 꽃이 피어 있는 보리밥나무를 만날 수 있습니다. 참고로 불교에서 말하는 보리수는 우리가 흔히 말하는 보리수나무와는 다른 나무입니다.석가와 관련된 보리수는 중국과 동남아시아에 자생하는무화과나무류(Ficus religiosa)를 의미한다고 합니다. 이 나무의 열매가 보리의 수확시기와 같은 것에서 혹은 보리와 닮은 데서 유래된 것으로 추정된다고 하는데 보리수나무과에는 이 보리밥나무를 비롯하여 보리장나무, .. 2024. 11. 11. 계곡에서의 단풍잎 놀이 천아오름에 단풍 사진을 담으러 갔다가어릴 적 나뭇잎을 계곡 물에 띄워 보냈던 시절을떠올리며 단풍잎이 계곡 물에 돌아가는 모습을 촬영해 보았습니다. 혼자놀기 1 셔터 속도를 조금 더 주었더니 아주 빠르게 빙글빙글 혼자놀기 2 그리고 더 빠르게 돌아가는 단풍잎 놀이로하루를 보냅니다. 오늘도 고운 하루 되세요. 혼자놀기 3 2024. 11. 10. 이전 1 2 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