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대극과52

한겨울의 작은 야자수~ 흰대극 흰대극 Euphorbia esula L.>-대극과-  오늘은 이 겨울에 빨갛게 단풍이 물든 흰대극으로 하루를 열어 보겠습니다.대극이란 이름도 뿌리가 맵고 쓰기 때문에 먹으면 목구멍을 몹시 자극한다는 뜻의 '大戟'(대극)에서 왔다고 합니다.그러면 흰대극의 하얀뜻은 어디서 왔을까 검색을 해 보니 뿌리가 하얀 모습이라고 하네요.    이 흰대극은 남부 해안가에 자라는데 6~7월경에 꽃이 피는 식물입니다.이 대극과 아이들은 열매, 잎 또는 수액(樹液)에 독이 들어 있어 위험하며,생긴 모습이 유별나고 꽃차례 바로 밑에 달려 있는 잎처럼 생긴 포(苞)가 화려한 색깔을 지니고 있어 사람의 마음을 끌기도 한답니다.      보통 대극속의 꽃은 술잔처럼 생긴 배상(杯狀)꽃차례로 피는데,이 흰대극은 6~7월에 황색 ,노란.. 2025. 1. 14.
번식력이 강한 외래식물~ 아메리카대극 아메리카대극 Euphorbia heterophylla L. >-대극과-  어쩌다 아메리카대극이라는 이름이 붙었을까?원산지가 북아메리카라서 붙은 이름인 것 같은데 번식력이 강한 식물입니다.국가식물표준목록에서는 이 식물을 외래식물, 임시정착식물로 분류하고 있습니다.   대극과의 식물들이 그렇듯꽃이 대극과의 식물들과 닮아 있고 유액도 많이 나와 있습니다.    잎은 오란형, 긴 타원형으로 잎자루가 2~3mm 정도 되며줄기에는 미세한 털이 있거나 없습니다.    대극과의 식물들의 꽃차례를 배상화서라고 합니다.술잔 모양을 하고 있다는데서 비롯된 말입니다. 암술대는 3개로 갈라지며 주된 암술머리는 2개로 갈라집니다.     꽃보다는 열매를 맺고 있는 아메리카대극이 더 많이 보였습니다.하얀 유액이 많이 남아 있습니다.. 2024. 12. 4.
잡초 중의 골칫거리~ 애기땅빈대 애기땅빈대  maculata L. >-대극과-   오늘은 우리 주변에서 많이 보이지만 잡초처럼 자라나면서 관심을두지 않는 식물인 애기땅빈대로 하루를 열어 드립니다.식물명 앞의 접두어인 "땅'이 들어가는 식물들은 전초가 작거나 꽃이나줄기의 방향이 땅으로 향한다는데서 이름을 붙이는데 거기다가빈대라는 이름이 들어 갔으니 얼마나 작은지 짐작이 가는 식물입니다. *땅나리,땅채송화,땅비싸리   밭이나 길가에 자라는 한해살이풀로 줄기는 밑에서부터 가지가 갈라져서 땅 위에 퍼지며대극과의 식물들이 그러하듯 줄기를 자르면 유액이 나오고,꽃은 8-9월에 가지 끝과 잎겨드랑이에서 배상꽃차례로 피며, 연한 붉은색입니다.밭에 나갔더니 온통 이 애기땅빈대가 자기 영역을 표시하는 듯 피어 있습니다.     땅빈대의 사촌격인 애기땅빈.. 2024. 9. 12.
풀밭의 잡초,땅빈대 중 가장 큰~ 큰땅빈대 큰땅빈대  Euphorbia nutans Lag. >-대극과-  우리가 흔히 알고 있는 잡초는 칡, 환삼덩굴이거나 육지에 가시박,밭에 나가면 으레 있는 망초나 개망초, 쇠비름 등이 있고 오늘 소개해 드릴 큰땅빈대도 그 중 하나입니다.    땅빈대나 애기땅빈대에 비해 전초가 크고 잎은 긴 타원형으로줄기에는 붉은색이 돌며 한쪽에 아주 짧은 털이 있다고 설명하고 있습니다.잎 윗면에는 보시는 바와 같이 털이 있습니다.     땅빈대나 애기땅빈대는 땅을 기다시피 살아가는데 반하여큰땅빈대는 큰 것은 허리 높이까지 자라고 있었습니다.     배상꽃차례는 수술 1개로 된 수꽃과 암술 1개로 된 암꽃이 술잔처럼 생긴 총포 속에] 들어 있으며, 꿀샘덩이는 옆으로 퍼진 타원형이라고 설명하고 있습니다.     큰땅빈대의 꽃말.. 2024. 9. 11.
초여름 숲 속의~ 사람주나무 사람주나무 Sapium japonicum (Siebold & Zucc.) Pax & Hoffm.>-대극과-   오늘은 사람주나무 이야기로 하루를 열어 보겠습니다.제주에서는 계곡이나 숲 속에서 흔히 만날 수 있는 수종으로5월 말에서 6월 초가 되면 가느다란 촛대처럼 꽃을 피우는 나무입니다.    사람주나무의 이름 유래는 어떻게 만들어졌을까요?인터넷 서핑을 해 보고,자료를 뒤져 봐도 해답을 찾기가 어려웠습니다. 1) 나무가 그리 크지 않고 가지를 많이 쳐서 마치 멀리서 보면 사람이 서 있는 모습이 연상된다는~~2) 단풍이 들어 가는 잎의 홍조가 사람의 피부와 닮아 있다는~3) 수피가 다른 나무와는 다르게 흰색을 띠어 사람의 피부를 닮아 있고 근육이 있는 것 같다는~ 등등의 이야기가 있는데 설득력은 없어 보입.. 2024. 6. 1.
열매에서 기름이~ 유동 유동 Vernicia fordii (Hemsl.) AiryShaw.>-대극과-   오늘은 열매에서 공업용 기름을 얻었다는 나무인 유동으로 하루를 열어 드리겠습니다.대극과의 나무인 이 유동은 일본유동속의 나무로 이 속에는 유동과 일본유동 두 종이 등록되어 있지만 중국의 목유동을 포함하여 세계적으로 3종으로 분류하고 있습니다.   유동은 동남아시아와 중국 지방이 원산지로 중국에서 언제 우리나라로도입되었는지는 확실치 않고 이 유동에서 기름을 짜낸 것을 '동유'라고 하여 공업용 기름으로 사용하였다고 합니다.   유동의 속명인 'Vernicia '는 이 나무의 열매에서 기름을 짜'varnish'니스칠 도료로 사용하였다고 하여 붙여진 이름입니다.개화 시기가 작년보다 빨라 벌써 꽃이 떨어지고 있었습니다.    이 유.. 2024. 4. 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