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루발과37 수정처럼 곱게 피어난~ 수정란풀 수정난풀 < Monotropa uniflora L. > -노루발과- 식물은 광합성을 통해 양분을 만들어내는 것이 일반적인 모습인데, 어떤 식물들은 스스로 양분을 만들어내지 못하여 다른 식물에 기생하기도 하고 썩은 낙엽이나 동물의 사체에서 양분을 흡수하기도 합니다. 이런 식물들을 부생식물이라고 .. 2019. 9. 17. 수정란풀이 있는 풍경 오늘은 한장의 사진으로 하루를 열어 보겠습니다. 식물은 광합성을 통해 양분을 만들어내는 것이 일반적인 모습인데, 어떤 식물들은 스스로 양분을 만들어내지 못하여 다른 식물에 기생하기도 하고 썩은 낙엽이나 동물의 사체에서 양분을 흡수하기도 합니다. 이런 식물들을 부생식물이.. 2019. 9. 15. 숲속의 부생식물인~ 구상난풀 구상난풀 <Monotropa hypopithys L. > -노루발과- 오늘은 엽록소가 없는 부생식물인 구상난풀을 만나 보겠습니다. 제주도의 구상나무 군락 등지에서 발견되어 명명되었다고 하지요.그렇다고 제주에만 있는 식물은 아니지요. 꽃은 종 모양으로 아래를 향해 달리며 수술은 8개, 암술은 적갈색.. 2019. 8. 19. 숲속의 부생식물~ 구상난풀 구상난풀 <Monotropa hypopithys L. > -노루발과- 오늘은 엽록소가 없는 부생식물인 구상난풀을 만나 보겠습니다. 제주도의 구상나무 군락 등지에서 발견되어 명명되었다고 하지요.그렇다고 제주에만 있는 식물은 아니지요. 꽃은 종 모양으로 아래를 향해 달리며 수술은 8개, 암술은 적갈색.. 2018. 8. 22. 숲속의 매화노루발 매화노루발 <Chimaphila japonica Miq.> -노루발과- 오늘은 어제의 노루발에 이어 꽃이 매화를 닮아 매화노루발이란 이름을 얻었다고 하는 매화노루발로 아침을 열어 봅니다. 어제 포스팅했던 노루발과는 달리 짧은 꽃줄기에 꽃이 1~2개씩 달려 피어납니다. 초여름의 길목에서 피어나는 이 .. 2018. 6. 21. 숲속의 노루발 노루발 <Pyrola japonica Klenze> -노루발과- 6~7월에 피어나는 노루발입니다. '노루발풀'이라고도 하지요. 노루발이 꽃을 곱게 피어 저 좀 바라봐 달라고 아우성입니다. 노루발의 이명으로 '녹제초'(鹿蹄草)라고 하는데,녹제는 노루나 사슴의 발굽을 가리키는 단어로, 꽃이 지고 나서 열매에 .. 2018. 6. 20. 이전 1 2 3 4 5 6 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