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여행,식물,풍경/난초378

숲 속의 흑진주~ 흑난초 흑난초 -난초과- 오늘은 여름날에 피어 나는 흑난초 이야기로 하루를 열어 보겠습니다. 나리난초속 식물로는 나리난초,참나리난초,나나벌이난초,계우옥잠난초,날개옥잠난초,큰꽃옥잠난초, 키다리난초,한라옥잠난초,그리고 이 흑난초를 포함한 가계도를 가지고 있습니다. 흑난초는 흑자색의 꽃이 피어 흑난초라는 이름을 얻었는데 실제로 보면, 완전한 흑색보다는 자주색이 들어간 짙은 자주색을 띠고 있습니다. 흑난초의 생육환경은 습도가 높은 반그늘,음지의 토양 부엽질이 풍부한 곳에서 자라는데 제주에서는 지역에 따라 여러 곳에서 자라고 있습니다. 우리나라에서는 주로 남해안과 신안 일부 지역, 그리고 제주도에서 자생하고 있는 이 흑난초는 초여름부터 피기 시작하여 7월 중순까지 꽃을 볼 수 있는 난초과의 식물입니다. 흑난초의 꽃을 접.. 2023. 7. 3.
초여름 난초인~ 대흥란 대흥란 -난초과- 난초과의 부생식물인 대흥란은 전남 해남의 대흥사 일원에서 처음 확인되었다고 하여 “대흥란, 두륜난”이라고 부르며 현재는 전남,강원도 등 우리나라 전역, 제주도와 남부지방 해안에 주로 자란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전국적으로 분포하는 이 대흥란은 제주에서는 곶자왈이나 저지대의 숲 속에서 살아가고 있는 난초입니다. 특히 이 대흥란은 소나무의 숲속에서 많이 발견되는 특징을 가지고 있습니다. 그럼 여기서 멸종위기 야생생물에 대해 알아 볼까요? 멸종위기 야생생물 목록은 지난 2017년 12월 29일 '야생생물 보호 및 괸리에 관한 법률'이 개정됨에 따라 기존 246종에서 267종으로 확대가 되었습니다. 멸종위기 야생생물 1급 60종,멸종위기 야생생물 207종인데 그 중 2급 식물은 77종입니다. 이.. 2023. 6. 27.
초여름날의 난초~ 산제비란 산제비란 -난초과- 우리나라 양지바른 풀밭이나 산지의 평평한곳이서 자라는 산제비란으로 하루를 열어 보겠습니다. 꽃은 연한녹색으로 5~7월에 피며 줄기는 곧추서며 난초목,난초과에 속하는 식물입니다. 보통 여름이 익어가는 6~7월에 피어나며 장마철에 피는 아이들도 있습니다. 난초중에 새이름들이 많이 들어가지요. 산제비란을 비롯하여 갈매기란,해오라비난초,오리난초, 등등 있는데, 꽃이 핀 모습을 보고 날아가는 모습이나 새모양을 보고 명명된 이름들이라고 합니다. 이 산제비란은 꽃이 피었을때의 모습이 꿀주머니인 '거'가 아래로 제비의 꼬리처럼 처져 있어 붙여진 이름이고, 위로 향한 거는 난을 연구하는 일부 학자들에 의해 '하늘산제비란'으로 부르고 있습니다. ** 거(距) : 꽃 부분에서 꽃부리나 꽃받침의 일부가 뒤.. 2023. 6. 25.
잎이 없다는~ 제주무엽란 제주무엽란 -난초과- 오늘은 제주무엽란이라는 난초과 식물로 하루를 열어 보겠습니다. 가만히 들여다 보면 줄기에 특징적으로 색깔이 드러나 있습니다. 1993년에 제주에서 발견되어 제주무엽란이란 이름을 얻은 난초입니다. 제주의 상록수림의 그늘에 자라며 여러해살이 부생식물로 줄기는 곧게 서며 꽃이 피면 담록색,녹황색,청보라색 등 다양한 화색을 가지고 있는데 꽃은 활짝 피지 않는 특징을 가지고 있습니다. 국가식물표준목록에서는 무엽란속을 이렇게 분류하고 있습니다. 본종인 무엽란을 비롯하여 노랑제주무엽란, 애기무엽란, 영주무엽란, 제주무엽란으로 구별하고 있으나 개인적인 생각으로 예전에 노랑무엽란이 노랑제주무엽란으로 노랑제주무엽란이 영주무엽란으로 불리는 것은 아닌지 참 구별하기가 쉽지 않습니다. 햇볕이 거의 들어오지.. 2023. 6. 24.
숲 속의 초여름 난초인~ 약난초 약난초 -난초과- 오늘은 초여름에 피어 나는 난초과의 식물인 약난초를 소개해 드립니다. 6월이 되면서 더워지는 시기가 되면 숲 속에도 많은 변화가 일어 납니다. 난초들의 등장이 그것인데,무엽란을 비롯하여 초지의 방울새란,그리고 곶자왈의 이 약난초가 꽃을 피우는데, 연한 자줏빛이 도는 갈색의 꽃을 피우고 있습니다. 이 약난초는 우리나라의 남부지방 및 도서지방에서 분포하는데,습도가 높고 부엽질이 풍부한 깊은 숲속에서 자라는 난초과의 식물입니다. 꽃은 5월말에서 6월 초가 되면 피기 시작하는데 연한 자주빛이 도는 갈색으로 10~20개 정도가 아래로 치우쳐 달립니다. 종소명 'appendiculata'는 라틴어 '부속물이 있는'의 뜻으로 처음의 근경이 붙어 있는 것을 중요시한 데서 유래한다고 합니다. 예로부터 .. 2023. 6. 17.
숲 속의 나나벌이난초 나나벌이난초 -난초과- 나나벌이난초는 꽃의 형태가 나나니벌과 비슷한데서 이름을 얻었다는데, 나나니벌은 구멍벌과의 벌로 혼자서 살아간다고 합니다. 다른 이름으로는 애기벌난초라고 부른다는 나나벌이난초를 나나니벌과 함께 공부를 해 보겠습니다. 나나니벌 구멍벌과 나나니아과 나나니속에 속하는 기생벌입니다. 특이하게 이 나나니벌은 다른 곤충의 애벌레를 물어와 마취 침을 꽂아 기절시킨 뒤 애벌레가 발버둥 치지 못할 만큼만 살려놓고 애벌레의 몸속에 알을 낳는 특징을 가지고 있습니다. 특히, 이 나나니벌은 허리가 개미허리처럼 아주 가늘고 긴 편입니다. 나나니벌을 직접 그린 세밀화입니다. 식물이 곤충을 이용하여 수정을 시키는 경우가 많은데 나나벌이난초의 꽃이 나나니벌의 암컷과 비슷한 모습을 하고 있어 수컷을 유혹하면 수꽃.. 2023. 6. 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