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여행,식물,풍경/난초378

멀어서 그리운 당신~ 차걸이란 차걸이란 Oberonia japonica (Maxim.) Makino >-난초과-  오늘은 난초과의 식물인 차걸이란으로 하루를 열어 보겠습니다.차걸이란을 검색해 보면 제주도 남부에서 자라는 착생난초라고 설명하고 있습니다.비자나무에 착생하여 살아가고 있는 차걸이란과의 만남을 포스팅해 봅니다.너무 멀어서 망원으로도 담기가 어려웠던 기억을 남겨 놓습니다.   생육환경에 대한 백과의 설명을 보면,상대습도가 매우 높고 빛이 거의 들어 오지 않는 나뭇가지에서 자란다고 설명을 하고 있습니다.차걸이란의 이름 유래를 보면 '차걸이', 즉 차의 장식품 등으로 설명하고 있습니다.   1969년 차걸이란을 처음 이 창복 교수에 의해 '나도제비란'으로 발표하였으나 나도제비란이1949년 정 태현 등에 의해 조선식물향명집에 이미 .. 2024. 5. 20.
'변치않는 귀여움' 옥잠난초 옥잠난초 Liparis kumokiri F. Maekawa>-난초과-   오늘은 옥잠난초를 만나 보면서 하루를 열어 봅니다.이 옥잠난초는 잎의 형태가 옥잠화를 닮았다는데서 유래하며,종소명 'kumokiri'는 일본어 '운절초(雲切草)' 또는 '운산초(雲散草)'를 라틴어화한 것이라고 합니다.    난초과의 아이들중 나리난초속에 속한 아이들을 국가표준목록에서는8종으로 분류하고 있는데 대표적으로 이 옥잠난초를 비롯하여 나리난초,나나벌이난초,유명난초,참나리난초,키다리난초,한라옥잠난초,흑난초로 분류하고 있습니다.    옥잠난초는 보통 2장의 잎이 나고,10~20센티의 화경을 밀어 올리고 여러송이의 꽃을 피우는데 이른 아이들은 5월말에서 생태적으로 고지대에는 6~7월까지 볼 수 있는 식물입니다.    나리난초와 더.. 2024. 5. 18.
고목에 피어난~ 석곡<石斛> 석곡  Dendrobium moniliforme (L.) Sw.>-난초과-   난을 분류하는 기준은 잎의 모양이나,꽃의 화색,피는 모양에 따라 달라지지만,이 석곡은 화색이 하얀바탕에 살짝 분홍색이 있어서 더더욱 아름다운 것 같습니다.오늘은 석곡으로 하루를 열어 봅니다.   속명인 덴드로비움 Dendrobium(덴드로비움)은 그리스어의 "나무"라는 뜻과 '산다'라는 뜻의 합성어로 '나무 위에서 산다' 는 데서 유래 되었다고 합니다.    석곡을 한자로 쓰면 '石斛'이라고 하는데 '돌' 석자에 '휘','헤아릴' 곡인데석곡의 이름 유래에 대해 자료를 찾아 보니 한자어에서 유래되었다는 이야기만 나올 뿐'곡'자의 정확한 설명은 찾아보기가 어렵습니다.    북한에서는 이 석곡을 '석곡란'이라 부르는데 난초를 강조하.. 2024. 5. 16.
제주의 나리난초~ 제주나리난초 제주나리난초 Liparis suzumushi Tsutsumi, T.Yukawa & M.Kato >-난초과-  그동안 나리난초로 불려져 왔던 이름이 검색을 하여보니 제주나리난초라는이름으로 국가식물표준목록에 올라와 있어 자료를 찾고 검색을 하여제주나리난초로 이름을 올려 포스팅해 보겠습니다.    우리나라에 자생하는 나리난초속 식물로는,옥잠난초,나나벌이난초,키다리난초,나리난초,참나리난초의 5종을 기본종으로국가식물표준목록에서는 8종을 기술하고 있습니다. 작년 7월에  나리난초속(Liparis Rich.)에 속하는 3종의 실체와 분포를 밝힌 연구성과를 전문학술지(한국식물분류학회지 53권 2호)에 게재하였다고 밝히면서  남해안 이남의 무리는 제주나리난초(L. suzumushi)인 것을 확인하였다고 합니다.    즉.. 2024. 5. 14.
봄을 알리는 난초~ 보춘화 보춘화 -난초과- 보춘화 이름에서 알 수 있 듯 봄을 알리는 난초라는 의미를 가지고 있습니다. 햇살이 들어와 마치 십자가를 연상케 하는 모습으로 연한 연두색의 꽃이 곱게 피어 있습니다. 난초는 영어로 `Orchid'인데 그리스의 `Orchis', 즉 `고환(睾丸)'이란 뜻이라고 합니다. 유럽 자생란의 구근 형태가 고환과 비슷해 붙여진 이름이라고 하는데, 봄을 알리는 야생화가 많지만,난초중에서도 가장 먼저 꽃피우는 난초과의 식물입니다. 사군자와 함께 등장하는 꽃으로 봄에 핀다하여 '춘란'이라 부르기도 하는데, 좀 더 난초 애호가들이 세분하는 것으로 잎 가운데 무늬가 들어가면 '중투' 잎 가장자리로 무늬가 들어가면 '복륜' 꽃이 하얗게 피면 '소심'이라 부르며 품종이 많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봄을 알리는 야.. 2024. 3. 20.
한겨울의 진객~ 한란 한란 -난초과-  오늘은 한겨울의 진객 '한란' 으로 하루를 열어 드립니다.난초과의 식물인 한란은 제주도의 한라산 남쪽 경사면의 해발 120미터에서 850미터의 상록수림대에 분포하는데 개발, 남획으로 인하여 자생 개체수가 크게 감소하여 1967년 7월에 천연기념물 제 191호로 지정이 되었습니다.   한란은 한국,중국,일본과 대만 등지의 동북아시아 지역에 분포하고 있는 상록 여러해살이풀로 꽃이 피는 시기가 11월~1월로 추울때 꽃이 핀다고 하여 한란이라는 이름을 가지게 되었습니다. 한란이 속해 있는 'Cymbidium'속 식물들은 호주와 인도지역,중국,동남아시아의 산악지대,우리나라,일본등지에 70여종이 자생한다고 합니다.    다양한 화색과 향기를 가진 꽃은 부드럽고 아름다운 잎과 조화를 이루며,잎끝이 .. 2023. 12. 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