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금우 <Ardisia japonica (Thunb.) Blume>
-자금우과-
오늘은 우리에게 아주 친숙한 작은 관목인 폭설 속의 자금우를 만나 보겠습니다.
키는 고작해봐야 한 뼘 정도인 작은 자금우가 이제는 빨간 열매를 달고
숲 속 가장자리를 차지하고 있습니다.
![](https://blog.kakaocdn.net/dn/dniAD2/btsMdJR4I6a/rSfuJgPAbEwf8czKHez8eK/img.jpg)
![](https://blog.kakaocdn.net/dn/59vEQ/btsMeM75tCM/sX0UjDqa3kn21bOrB1StFK/img.jpg)
우리나라의 남부지방과 제주도에 서식하는 이 자금우는 겨울철이 되면 이렇게
붉은 구슬 형태의 열매가 달리는 작은 나무입니다.
불교에서 자금(紫金)이란 부처님 조각상에서 나오는 신비한 빛을 의미한다고 합니다.
![](https://blog.kakaocdn.net/dn/URrVv/btsMcRpu6nD/kNqLMQAFajfiwjhuHqO0vK/img.jpg)
자금우과의 대표적인 식물로 백량금, 자금우, 산호수가 있는데
크기면에서는 백량금이 무릎 위 정도로 자라면서 자금우나 산호수보다는 크며
자금우나 산호수는 크기가 비슷한 아주 작은 관목입니다.
자금우과의 대표적인 식물인 백량금, 자금우, 산호수의 꽃과 열매의 비교표를 만들어 보았습니다.
![](https://blog.kakaocdn.net/dn/rwcT9/btsMdI6BSy7/WjQmNDH2zvu38q6esL6Hr1/img.jpg)
백량금은 키가 크고 잎이 길고 두꺼우며 가장자리에 둔한 톱니가 있습니다.
산호수는 잎 가장자리의 톱니가 크고 잎 양면에 털이 있습니다.
![](https://blog.kakaocdn.net/dn/bmgajV/btsMchbb2fv/7bdkdWKMtqZrhaEyyvaiEk/img.jpg)
자금우는 키가 작지만 썩은 낙엽들 사이에서 땅속줄기를 뻗어
서로 연결하여 새로운 개체를 만들어 가기도 하는데, 햇볕을 많이 받지 않아도 상록수 밑에서
광합성을 하여 살아가는 생존능력이 탁월한 나무입니다.
![](https://blog.kakaocdn.net/dn/ex11rk/btsMeaVVfAZ/6JkxSSxj2Y35PmXzFR4Ij0/img.jpg)
자금우라는 이름의 한자를 해석하면 자금우(紫金牛)는 ‘아름다운 빛을 내는 소’란 뜻입니다.
소 크기 정도의 아름다운 빛을 내는 나무처럼 상상하면 실망이 크겠지만
자금우가 한약재로 쓰이는데, 그 한약재의 이름이 ‘자금우’로 중국인들이 붙인 이름을
우리가 그대로 받아들인 것으로 해석을 하고 있습니다.
![](https://blog.kakaocdn.net/dn/bHFYxY/btsMeVw5ZcE/rFlVKrkjbuCDe4dRuwYvU0/img.jpg)
강렬하고 매혹적인 빨간색은 보통 정열을 의미한다고 합니다.
그래서인지 자금우의 꽃말도 '정열' 이라고 하는데 아마 빨간 열매에서 꽃말이 붙여진 것 같습니다.
오늘도 고운 하루 되세요.
![](https://blog.kakaocdn.net/dn/0Ith5/btsMcPkZtaH/8Rho1Tz9B9bq9VKHcwye6K/img.jpg)
'여행,식물,풍경 > 목본' 카테고리의 다른 글
겨울 제주의 도로변 가로수~ 담팔수 (3) | 2025.02.12 |
---|---|
제주의 폭설 속에 피어난~ 납매 (2) | 2025.02.10 |
'구린내덩굴' 이라 불리는 계요등 (4) | 2025.02.07 |
겨울에도 강한 나무~ 회양목 (3) | 2025.02.05 |
새순이 돋아나는~ 덧나무 (3) | 2025.01.2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