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도옥잠화 <Clintonia udensis Trautv. et Meyer>
-백합과-
오늘은 나도옥잠화를 만나 보겠습니다.
우리나라의 고지대인 높은 산이나 계곡의 습지가 있는 곳에서 잘 자란다는 나도옥잠화입니다.
이명으로 제비옥잠화,두메옥잠화라 불리기도 한다는군요.
식물명 앞에 붙는 '나도','너도'의 의미는 같은 속에 속하지는 않지만
꽃이나 잎이 비슷하게 생긴 모양에서 붙여지는 것으로 보입니다.
이 나도옥잠화의 '나도'는 옥잠화의 잎을 많이 닮아 있어서 붙여진 이름이라고 하네요.
옥잠은 옥비녀를 뜻하는데,한자로는 玉簪이라 쓰여집니다.
옥잠이라는 말이 들어간 꽃도 많은데,난초중에는 옥잠난초가 있고,제주에서만 자생한다는 한라옥잠난초,
부레옥잠등이 있답니다. 이 나도옥잠화는 꽃이 흰색으로 총상화서로 피고,꽃잎은 6개랍니다.
**총상화서 : 긴 꽃대(줄기)가 올라와서 여러개의 꽃이 돌려나게 피는 모양
나도옥잠화의 꽃말이 '조용한 사랑','침착'이라고 검색이 되네요.
목요일 아침입니다.
오늘도 고운 하루 되세요.~~
'여행,식물,풍경 > 한라산의 식물' 카테고리의 다른 글
바위에 떡처럼 붙어있는 바위떡풀~ (0) | 2015.10.07 |
---|---|
청초하고 단아한 흰그늘용담~ (0) | 2015.05.29 |
곱게 피어 있는 설앵초~ (0) | 2015.05.27 |
숲속에서 유혹하는 큰앵초~ (0) | 2015.05.22 |
한국의 특산식물인 모데미풀~ (0) | 2015.04.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