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한국의 야생화1476

제주의 할미꽃도 피다~ 가는잎할미꽃 가는잎할미꽃 -미나리아재비과- 봄을 맞이하는 꽃들의 향연이 들에서 곶자왈에서 잔치를 벌이고 있는 3월입니다. 오늘은 지금 막 잠에서 깨어나고 있는 가는잎할미꽃을 만나 보겠습니다. 제주에서 자라는 할미꽃을 가는잎할미꽃이라 합니다. 다른 종류에 비해 잎이 가늘게 갈라져서 붙여진 이름입니다. 가는잎할미꽃의 학명을 'Pulsatilla cernua'라 하는데 속명 'Pulsatilla'는 '종모양의'라는 뜻을 가지고 있고 종소명 'cernua'는 '고개를 숙인'이라는 뜻이 있습니다. 가는잎할미꽃의 모습을 연상하면 학명이 적절하게 쓰여진 것 같다는 생각을 하게 됩니다. 국가표준식물목록에는 우리나라에 자생하는 할미꽃이 7종 정도로 기술이 되어 있습니다. 할미꽃,가는잎할미꽃,노랑할미꽃,산할미꽃,분홍할미꽃,동강할미꽃,.. 2023. 3. 25.
작은 들꽃을 반영에 담아 보다. 뚜껑별꽃 뚜껑별꽃 -앵초과- 청자색의 꽃을 피우는 이 뚜껑별꽃은 꽃이 고와 이명으로 '보라별꽃','별봄맞이꽃'등으로도 불리는 작은 식물인데 반영을 담아 보고 싶었습니다. 종소명인 'Anagallis arvensis '는 '해가 뜨면 다시 핀다'는 뜻을 담고 있다고 합니다. 오후 3시가 넘어가면 꽃이 닫히는 특성이 있고 흐린 날이나 비오는 날에도 보기가 힘든 야생화입니다. 올해 처음 만난 뚜껑별꽃은 이미 포스팅 한 바 있고 주말에 다시 뚜껑별꽃을 만나 그 반영을 담느라 한참 씨름을 한 기억을 내려놓습니다. 개별꽃, 쇠별꽃, 별꽃 등 흔히 별꽃이라 부르는 꽃들은 석죽과 식물입니다. 그러나 뚜껑별꽃은 별꽃이라는 이름이 붙었지만 이들과 전혀 족보가 다른 앵초과의 한해살이 풀꽃입니다. 앵초과의 식물이지만 꽃 모양과 잎이 .. 2023. 3. 22.
<귀화식물> 유럽미나리아재비 유럽미나리아재비 -미나리아재비과- 3월이 되면서 봄이 완연하게 무르익는 듯 합니다. 한낮이면 더워서 반팔 티를 입는 모습도 이상하지 않는 요즘입니다. 오늘은 귀화식물인 유럽미나리아재비를 소개해 드립니다. 귀화식물이란 조선시대 말 개화기를 경계로 하여 개화기 이후에 외국에서 들어온 식물들을 말하는데 지금은 그 종 수가 120여종을 넘는다고 합니다. 귀화식물이라는 용어 외에 외래식물이라는 용어도 사용하고 있는데 기존에 인위적, 자연적으로 들어와 생태계에 도태되지 않고 자력으로 토착화된 귀화식물과는 달리 신규로 국내에 의도 또는 비의도적으로 유입된 식물을 외래식물이라고 합니다. 이 유럽미나리아재비는 북아프리카, 아시아, 호주, 북아메리카, 유럽 등에 걸쳐 널리 분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는데 최근에 제주에서도 .. 2023. 3. 21.
톡톡 터지는~ 나도물통이 나도물통이 -쐐기풀과- 오늘은 쐐기풀과의 나도물통이를 만나 보겠습니다. 물통이 종류들도 많은데 물통이를 비롯하여,모시물통이,산물통이,큰물통이,북천물통이, 오늘 소개하는 나도물통이 등 다양하게 서식하고 있습니다. 식물이름에 '나도',또는 '너도'라는 이름이 붙는 경우가 참 많이 있습니다. 종이 아주 다른 분류에 속하면서도 모양이나 형태가 비슷하여 붙여진 이름들입니다. 봄에 많이 피어나는 바람꽃 중에도 '나도바람꽃'이 있고 '너도바람꽃'도 있는 것처럼 말이지요. 아직 꽃이 피어나기 전의 모습입니다. 꽃이 피어나는 것을 직접 눈으로 확인할 수 있는 식물인데요. 가만히 들여다 보고 있으면 햇살을 받은 이 나도물통이가 '톡'하며 터지는 것을 볼 수가 있습니다. "톡'하며 터지는 나도물통이 모습입니다. 나도물통이를.. 2023. 3. 20.
<일러스트> 꿩의바람꽃 봄바람 따라 피어난 꿩의바람꽃을 일러스트로 그려 보았습니다. 낮은 자세로 야생화 만나러 떠나 봅니다. 오늘도 고운 하루 되세요. 2023. 3. 19.
'개구리'가 들어간 식물~ 개구리발톱 개구리발톱 -미나리아재비과- 봄이 오면 가장 빨리 꽃을 피우는 식물은 어떤 것이 있을까요? 초본류에서는 대표적으로 흰털괭이눈, 세복수초, 변산바람꽃 등이 있고 목본류에서는 제주백서향, 길마가지나무, 새덕이 등이 있는데 오늘은 남부지방에서 흔히 볼 수 있는 미나리아재비과의 개구리발톱을 소개해 드립니다. 그런데 왜 이름이 '개구리발톱'이 되었을까요? 개구리발톱이라는 이름과 관련하여 여러가지 이야기가 있습니다. 이 식물의 서식지에 개구리가 많이 살고 있어 이름이 생겼다고 하는 이야기, 잎과 열매의 모양을 개구리의 물갈퀴에 비유해서 붙여졌다는 이야기가 있습니다. 제주도와 남부지방에 서식하는 이 개구리발톱은 생약명으로는 '천계'라고 하며, 개구리망, 천계자, 뇌환초, 소오두, 자배천계라는 별칭도 가지고 있는데 도.. 2023. 3. 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