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참나무과12

상수리나무 암꽃을 보셨나요? 상수리나무 -참나무과- 오늘은 참나무과의 대표라고 할 수 있는 상수리나무 이야기로 하루를 열어 보겠습니다. 참나무목 참나무과 참나무속에 속하는 낙엽교목으로 우리가 일반적으로 부르는 참나무들은, 참나무속(─屬 Quercus)에 속하는 식물 모두를 참나무라고 합니다. 매년 상수리나무의 꽃을 담아 보면 수꽃만 담는 경우가 많습니다. 암꽃이 어디 있나 찾아 보면 눈으로 확인하기 어려운 경우도 있어 올해는 가지 끝에 달려 있는 상수리나무의 암꽃을 겨우 담을 수 있었습니다. 올해 초 상수리나무의 겨울눈을 담은 사진입니다. 회갈색을 띠고 있는 상수리나무의 겨울눈 모습입니다. 일반적으로 참나무속에 속하는 나무들은 상수리나무, 굴참나무, 신갈나무, 떡갈나무, 갈참나무, 졸참나무로 분류가 되며, 이들은 모두 도토리가 열리.. 2022. 4. 14.
난대림의 대표주자~ 종가시나무 종가시나무 -참나무과- 오늘은 난대림의 대표적인 수종인 종가시나무로 하루를 열어 보겠습니다. 우리가 자주 이야기하는 난대림은 무엇인지도 살펴 보겠습니다. 우리나라 산림대를 크게 3개로 나뉘는데 제주도는 이 난대림에 포함이 되어 있습니다. 난대림의 대표적인 수종이라는 제목을 달았는데요. 우리나라 산림대는 보통 3개로 나뉘는데, 온대림 : 북위 35~45에 걸친 지역으로 연평균 기온이 6~14도인 곳으로 우리나라 대부분이 차지하고 있으며, 낙엽활엽수림으로 떡깔나무,상수리나무,진달래,철쭉,싸리나무 등이 주종을 이루는 곳입니다. 난대림 : 북위 35도 이남 지역으로 연평균 기온이 14도 이상인 남해안과 섬지방,제주도가 이에 포함되며, 상록활엽수림으로 동백나무,종가시나무,후박나무,녹나무,구실잣밤나무,사철나무 등이.. 2021. 11. 16.
200년이 넘은 구실잣밤나무 구실잣밤나무 -참나무과- 제주의 가로수는 언제 처음 등장을 하였을까 하는 의문이 들어 검색을 해 보았더니 1973년 제주공항 입구에 식재된 구실잣밤나무가 시초였다고 합니다. 오늘은 200년이 넘는 구실잣밤나무를 소개해 드립니다. 오늘 소개해 드릴 나무는 영천악 둘레길에 있는 구실잣밤나무로 안내판에는 '장수기원 장소'라는 팻말과 함께 200년이 넘는 나무라고 소개하고 있습니다. 나무둘레가 6미터, 분지가 4개인 나무입니다. 제주에서는 도로의 일부 구간에도 많이 식재되어 있고,생장력이 좋아 제 멋대로 자라는 수형이 밤나무를 닮아 제주에서는 예부터 '제밤낭','조밤낭'이라고 불렸습니다. 1973년 공항입구에 식재된 이후로 1980년대에는 서사라 주변에 이 구실잣밤나무를 대거 식재를 하였습니다. 그러나 이 구실.. 2021. 1. 27.
계곡을 물들이는~구실잣밤나무 구실잣밤나무 -참나무과- 오늘은 제주의 가로수나 계곡 근처의 숲 속 어디서나 볼 수 있는 수종인 구실잣밤나무로 하루를 열어 드리겠습니다. 제주에서는 '제밤낭'이라 불리는 수종으로 계곡에서는 아주 거대한 크기의 구실잣밤나무를 만날 수 있습니다. 제주에서는 도로의 일부 구간에도 많이 식재되어 있고,생장력이 좋아 제 멋대로 자라는 수형이 밤나무를 닮아 제주에서는 예부터 '제밤낭','조밤낭'이라고 불렸습니다. 서귀포의 계곡인 영천,신례천에는 이 구실잣밤나무들이 꽃을 피워 계곡을 물들이고 있습니다. 구실잣밤나무의 비릿한 냄새를 싫어 하여 기피하는 사람들도 있고, 참나무보다 못하다고 폄하하는 사람들도 있지만, 이 구실잣밤나무는 차세대 기후변화에 대응하는 수종으로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고 합니다. 대부분의 열매가 같은.. 2020. 5. 27.
계곡의 고목인~ 구실잣밤나무 구실잣밤나무 <Castanopsis cuspidata var. sieboldii.> -참나무과- 오늘은 제주의 가로수나 계곡 근처의 숲 속 어디서나 볼 수 있는 수종인 구실잣밤나무로 하루를 열어 드리겠습니다. 제주에서는 '제밤낭'이라 불리는 수종으로 계곡에서는 아주 거대한 크기의 구실잣밤나무를 만날 수 있습니.. 2020. 2. 28.
가시나무 중 잎이 가장 작은~ 졸가시나무 졸가시나무 <Quercus phillyraeoides A.Gray > -참나무과- 오늘은 상록활엽교목인 졸가시나무로 하루를 열어 드립니다. 참나무과의 상록수 중에서는 내한성이 제일 강한 수종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열매가 졸참나무와 비슷한 가시나무'라는 의미에서 졸가시나무라는 이름을 얻었습니다. 수.. 2020. 1.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