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송악의 꽃말5

11월에 꽃을 피우는 나무~ 송악 송악 Hedera rhombea (Miq.) Bean>-두릅나무과-   제주에는 올레길을 가다 보면 어디에서든지 만날 수 있는 정겨운 밭담, 그리고 경계석인 돌담, 곶자왈이나 한라산 둘레길에서 만날 수 있는 잣성 등돌과 관련하여 많은 이야기들이 회자되곤 하는데 오늘 만나는 송악은 돌담이나 밭담을감고 올라가 돌담이나 밭담의 조연 역할을 하는 경우가 많이 있습니다.    송악의 잎은 짙은 녹색으로 반질반질한 윤기가 있습니다.북한에서는 이 송악을 두고 '담장나무'라고 하는데 담장을 타고 올라가는 습성 때문인가 봅니다.    아이비란 이름의 식물은 서양 송악인데 잎 모양이 우리의 송악과 거의 비슷합니다.아이비(ivy)는 두릅나무과의 송악속의 식물 전체를 의미하고우리가 보통 담쟁이덩굴을 영명으로 'boston i.. 2024. 11. 13.
한국의 '아이비'라 불리는~ 송악 송악 <Hedera rhombea (Miq.) Bean> -두릅나무과- 오늘은 두릅나무과의 송악을 만나 보겠습니다. 제주에서는 겨울에도 꽃을 만날 수 있는 나무로 돌담이나 소나무,삼나무에도 감아 올라가서 자라는 이 송악을 쉽게 만날 수 있습니다. 한자로는 '상춘등(常春藤)'이라고 하여 상록성인 특징으로.. 2017. 11. 29.
한국의 '아이비(Ivy)'라 불리는 송악~ 송악 <Hedera rhombea (Miq.) Bean> -두릅나무과- 오늘은 두릅나무과의 송악을 만나 보겠습니다. 제주에서는 겨울에도 꽃을 만날 수 있는 나무로 돌담이나 소나무,삼나무에도 감아 올라가서 자라는 이 송악을 쉽게 만날 수 있습니다. 한자로는 '상춘등(常春藤)'이라고 하여 상록성인 특징으로.. 2017. 1. 3.
한국의 '아이비'라 불리는 송악~ 송악 <Hedera rhombea (Miq.) Bean> -두릅나무과- 오늘은 두릅나무과의 송악을 만나보겠습니다.돌담이나 나무등을 타고 올라가는 덩굴성 나무입니다. 유럽이나 외국에서 '아이비'라 불리는 식물과 비슷하지요.줄기에서 기근,공중뿌리가 나와 다른 물체의 표면에 흡착하여 살아가는 나무랍니.. 2016. 2. 4.
'소밥나무'이라 불리는 송악~ 송악 <Hedera rhombea (Miq.) Bean> -두릅나무과- 오늘은 두릅나무과의 송악을 만나 보겠습니다. 제주에서는 겨울에도 꽃을 만날 수 있는 나무로 돌담이나 소나무,삼나무에도 감아 올라가서 자라는 이 송악을 쉽게 만날 수 있습니다. 송악은 "상춘등"이라 하여 고혈압과 지혈작용에 줄기와 잎.. 2015. 12.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