난초85 멸종위기식물인 백운란~ 백운란 < Kuhlhasseltia nakaianum (F. Maekawa) > -난초과- 오늘은 난초과인 백운란을 소개해 드립니다. 백운산에서 처음 발견되어 백운란이란 이름을 얻었지만 지금은 백운산에서는 볼 수 없다고 하니, 사람들의 욕심때문에 수많은 난초과의 아이들이 수난시대인 것 같습니다. 작년에도 담아 .. 2014. 7. 31. 조릿대와 같이 한 한라감자난초~ 한라감자난초 <Diplolabellum coreanum Maekawa> -난초과- 오늘은 한라감자난초를 만나 보시겠는데요. 감자난초라 불리는 이유는 뿌리와 줄기 사이의 헛비늘줄기가 감자처럼 생긴데서 유래하고, 제주에서 자생한다는 의미로 '한라감자난초'라는 이름을 얻었다고 합니다. 일전에 육지출사를 .. 2014. 7. 6. 깊은 숲속의 노랑제주무엽난초~ 노랑제주무엽난초 <L. kiusiana Tuyama var. suginoana (Tuyama) Hashimoto)> -난초과- 이름에서 알 수 있듯 잎이 없는 난초랍니다. 제주무엽란는 달리 짙은 노란색을 띠고 있는 아이인데요. 햐여 제주무엽란 앞에 접두어로 '노랑'이 붙어 노랑제주무엽란으로 불린답니다. 일부에서는 제주무엽란의 .. 2014. 7. 5. 숲 속의 흑진주인 흑난초~ 흑난초 <Liparis nervosa (Thunb.) Lindl> -난초과- 숲속의 흑진주라는 이름을 붙여서 포스팅해 볼 아이는 흑난초라 불리는 난초과의 자생란입니다. 햇빛을 받아 곱게 피어 있는 아이인데요. 이 흑난초는 깊은 숲 속에 살고 있는데 잎이 나리난초와 비슷하여 나리난초속으로 분류한다고 합니.. 2014. 7. 5. 너무나도 작은 혹난초(보리혹난초,보리난초)~ 혹난초 < Bulbophyllum inconspicuum> -난초과- 너무나도 작은 혹난초를 만나 보시겠습니다. 이명으로 '보리난초'또는 '보리혹난초'라는 이름으로도 불리고 있는데요. 종명 inconspicuum 은 라틴어의 "현저(顯著)하지 않다"라는 뜻으로 꽃이 작고 잘 보이지 않는다는 뜻이라고 합니다. 그 크기도 .. 2014. 7. 4. 자태가 고운 대흥란~ 대흥란 <Cymbidium macrorrhizum Lindl> -난초과- 멸종위기동,식물2급으로 지정되어 있는 대흥란입니다. 난초과의 부생식물인 대흥란은 전남 해남의 대흥사 일원에서 처음 확인되었다고 하여 “대흥란, 두륜난”이라고 부르며 현재 제주도와 남부지방 해안에 주로 자란다고 합니다. 고운 아.. 2014. 7. 4. 이전 1 ··· 10 11 12 13 14 1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