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골나무 <Osmanthus heterophyllus (G. Don) P. S. Green >
-물푸레나무과-
11월이 되면서 꽃이 피는 야생화나 나무가 잘 없는데 지금 꽃이 피면서
향기가 그만인 나무가 바로 이 구골나무입니다.
진한 향기를 맡으며 담아 본 구골나무를 소개해 드립니다.
![](https://blog.kakaocdn.net/dn/bjlLlR/btsKK09rStR/15p8uiixhJppXBQgxNDRAK/img.jpg)
구골나무를 이야기하면 목서와 구골나무의 교잡종인 구골목서를 이야기하지 않을 수 없는데
구골목서는 조경을 하거나 원예종을 하는 곳에서 분류하는 것으로
수목도감이나 국가식물표준목록, 국생종에는 기록되어 있지 않습니다.
![](https://blog.kakaocdn.net/dn/ctBLGX/btsKMogYJUP/bMVKLkMtSkkYvH9ECfDlV0/img.jpg)
물푸레나무과의 목서들 중에 자생하는 식물로는 박달목서가 유일하며
목서, 은목서, 금목서 등이 있는데 살펴 보겠습니다.
![](https://blog.kakaocdn.net/dn/9TmGe/btsKK1gg7ln/zN13BbY0qVoxmGFenXKqR0/img.jpg)
![](https://blog.kakaocdn.net/dn/dcWy8X/btsKLlyz5PJ/4dkaquqajv98wkkzixhlv1/img.jpg)
![](https://blog.kakaocdn.net/dn/I0zTI/btsKMO0KAzs/uvrB3HKJKrYJ3TZc9Ruyv1/img.jpg)
![](https://blog.kakaocdn.net/dn/bclJ2x/btsKLchAWkl/vA1rOO5DX47FBns6COoCd0/img.jpg)
구골나무의 속명 ‘오스만투스(Osmanthus)’는 그리스어로 ‘향기’를 뜻하는 ‘오스메(osme)’와
‘꽃’을 뜻하는 ‘안토스(anthos)’의 합성어이며, 종소명 ‘헤테로필루스(heterophyllus)’는
‘서로 다른 잎’이라는 뜻을 가지고 있는데 가장자리가 매끄러운
잎과 가시가 달린 잎이 섞여서 나는 구골나무의 특징을 잘 나타내고 있습니다.
![](https://blog.kakaocdn.net/dn/byYDBd/btsKMcA4NzV/oHQRwtyK0FCw10SpUL3Ru1/img.jpg)
최근에 발표에 따르면 구골나무 잎은 구강암세포 억제효능을 보여
항암제 공급원으로 활용한다는 기사도 있었습니다.
![](https://blog.kakaocdn.net/dn/bpCryO/btsKMiBgleS/fxm1MgKzMCBTz3DUAPiqy0/img.jpg)
구골나무의 꽃말이 '보호'라고 합니다.
잎과 꽃을 보호하기 위해 가시가 나 있는 것을 의미한 건 아닐까 하는 생각을 해 봅니다.
오늘도 고운 하루 되세요.
![](https://blog.kakaocdn.net/dn/b0ErVT/btsKM6z5OWJ/2vky981BA2sKQH1AVXr9rk/img.jpg)
'여행,식물,풍경 > 목본' 카테고리의 다른 글
빨간 열매가 인상적인~ 덜꿩나무 (10) | 2024.11.19 |
---|---|
작은 보라색 꽃과 열매가 고운~ 새비나무 (7) | 2024.11.18 |
단풍의 주자~ 당단풍나무 (5) | 2024.11.16 |
11월에 꽃을 피우는 나무~ 송악 (7) | 2024.11.13 |
천아계곡의 단풍나무 (10) | 2024.11.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