줄사철나무 < Euonymus fortunei var.radicans (Miq.) Rehder >
-노박덩굴과-
어제의 겨울딸기에 이어 오늘은 눈 폭탄을 맞은 줄사철나무를 소개해 드립니다.
사철나무는 주로 공원이나 울타리에 식재하지만 이 줄사철나무는
제주에서 밭담이나 나무,등을 타고 올라가 자라는 나무입니다.

사철나무의 이름은 춘하추동(春夏秋冬) 늘 푸른 나무라는 뜻에서 비롯되었는데요.
한자명으로 부방등(扶芳藤), 동청위모(冬靑衛矛), 화두충(和杜冲),
사선목(思仙木) 등의 이름이 있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그러나 줄사철나무는 사철나무와 닮아 있지만 줄기에서 뿌리가 내리고
덩굴성으로 자라기 때문에 '줄'의 접두어가 붙었습니다.

5~6월에 연녹색의 꽃이 잎겨드랑이에서 피어납니다.
거치가 있는 잎은 다소 두꺼운 편이며 어린 가지는 모가 져 있습니다.

우리가 많이 보는 사철나무의 잎보다 거치가 많이 발달되어 있고,
꽃과 열매가 사철나무보다 작은 것이 특징인데,
줄기가 네모진 사철나무와는 달리 줄기가 둥근 것도 다른 점입니다.

붉은색의 열매는 삭과로 익으면 이렇게 터져
진한 연붉은색의 씨가 드러나게 됩니다.

줄사철나무의 꽃말이 사철나무와 같이 '무변:변화없음'이라고 합니다.
오늘도 고운 하루 되세요.

'여행,식물,풍경 > 목본' 카테고리의 다른 글
빨간 열매의 유혹~ 먼나무 (6) | 2022.12.26 |
---|---|
눈 폭탄을 맞은~ 붉은겨우살이 (4) | 2022.12.23 |
설중의 겨울딸기 (6) | 2022.12.21 |
눈속의 동백나무겨우살이 (5) | 2022.12.20 |
누린내가 난다는~ 누리장나무 (5) | 2022.12.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