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의 희귀식물12 제주의 희귀식물인~ 흑오미자 흑오미자 Schisandra repanda (Siebold & Zucc.) Radlk.>-오미자나무과- 오늘은 한라산의 희귀식물인 흑오미자를 만나 보겠습니다.제주도의 해발이 높은 600~1,400미터에서 살아가는 덩굴성 식물입니다.예전에는 상당히 많았다고 하는 이 흑오미자는 귀한 약재의 재료로 사용하면서이제는 만나기 힘든 식물이 되어 버렸습니다. 조선시대에는 이 제주도의 흑오미자가 임금께 진상되는 진상품의하나였고 품질이 우수하였다는 기록이 있습니다.청암 김상헌의 1601에 따르면 '무르익은 산포도 같고 맛을분간할 수 없는데 단맛이 짙다'성종실록에 제주목사 이형상은 '본도의 오미자는 세상에 뛰어난맛이 있어 진헌하기를 청한다' 고 하였습니다. 1970년대 서귀포 지역의 젊은 사람들은 농기구에 쓰일.. 2024. 5. 27. 영주풀이 있는 풍경 오늘은 한라의 옛이름인 "영주"를 따 이름이 붙으면서 알려진 영주풀 사진 한장으로 하루를 열어 봅니다. 2007년에 발견된 식물로 엽록소가 없는 부생식물이나 엄연히 암,수꽃을 가지고 있는 식물입니다. 2023. 7. 30. 너무나도 작은~ 영주풀 영주풀 -영주풀과- 오늘은 한라의 옛이름인 "영주"를 따 이름이 붙으면서 알려진 영주풀을 소개해 드리면서 하루를 열어 봅니다. 2007년에 발견된 식물로 엽록소가 없는 부생식물이나 엄연히 암,수꽃을 가지고 있는 식물입니다. 제주를 뜻하는 영주의 이름을 가진 식물들이 몇 있습니다. 이 영주풀을 비롯하여 영주제비란,영주갈고리 등이 있고 지금 소개해 드리는 영주풀이 있습니다. 일본 등 아열대 지역에 분포하고 있는 아이로 일본에서는 절멸위기종으로 지정 보호하고 있는 식물로 알려져 있습니다. 그 크기가 너무나 작아 사진으로 담기에도 어려운 식물입니다. 솔잎 하나보다 더 작은 이 아이를 담으려면 눈이 아파서 한참을 들여다 보고 사진을 담아야 하는 식물입니다. 아주아주 작은 꽃이지만 이렇게 암술과 수술을 가지고 있습.. 2022. 8. 8. 아주아주 작은 식물 영주풀~ 영주풀 <Sciaphila nana Blume > 오늘은 국가표준식물목록에도 올라와 있지 않은 식물로 미기록종이나 그 이름을 한라의 옛이름인 "영주"를 따 이름이 붙으면서 알려진 영주풀을 소개해 드리면서 하루를 열어 봅니다. 2007년에 발견된 식물로 엽록소가 없는 부생식물이나 엄연히 암,수꽃을 .. 2017. 7. 24. 양치식물인 솔잎란~ 솔잎란 <Psilotum nudum (L.) P.Beauv.> -솔잎란과- 오늘은 난초의 이름을 달고 있으면서 양치식물인 솔잎란으로 하루를 열어 보겠습니다. 솔잎란(또는 솔잎난)이란 한자명을 번역한 것이며, 녹색의 잔가지가 솔잎과 비슷한 데서 생긴 이름이라고 합니다. 생김새에서 따온 이름인 것이지요.상.. 2016. 12. 24. 하늘에서 내린 작은 천마~애기천마 애기천마 <Chamaegastrodia sikokiana (Makino) Makino et F.> -난초과- 애기천마는 일본 "시코쿠"에서 최초 발견된 남방계 부생식물로 천마와 비슷하지만, 그 크기가 작아 애기천마로 불리고 있습니다.천마라는 이름은 하늘에서 내린 약초를 의미한다고 하지요. 낙엽수림의 썩은 식물체에 기생하.. 2016. 8. 12. 이전 1 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