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루발과 식물10 숲속의 또 하나의 외계인~ 구상난풀 구상난풀 Monotropa hypopithys L. >-노루발과- 오늘은 엽록소가 없는 부생식물인 구상난풀을 만나 보겠습니다.제주도의 구상나무 군락 등지에서 발견되어 명명되었다고 하지만그렇다고 제주에만 있는 식물은 아닙니다.꽃은 종 모양으로 아래를 향해 달리며 수술은 8개, 암술은 적갈색을 띠고 있습니다. 식물이 가장 기본적인 기능인 광합성을 하지 못하고 다른 동,식물의 죽은 사체나 배설물,또는 이들이 분해되어 생긴 유기물을 양분으로 하여 살아가는 식물을 우리는 부생식물이라고 합니다. 특징적으로, 이 노루발과의 식물은 꽃과 열매가 달리는 방향이 다르다고 알려져 있습니다.처음에는 꽃이 땅을 향해 피어나지만 꽃이 지면서 서서히 고개를들어 올려 열매는 하늘을 향해 달립니다. 노루발과의.. 2024. 7. 27. 잎이 둥근 콩팥 모양을 한~ 콩팥노루발 콩팥노루발 -노루발과- 노루발과의 식물도 참 많이 있는데 요즘 산속에서 만나는 노루발과 식물들은 매화노루발, 노루발이 많이 보이는데 강원도에서 만난 이 콩팥노루발은 잎이 둥근 콩팥의 모양을 닮았다고 하여 붙여진 이름입니다. 우리나라 북방계 식물로 잎이 둥근 모습을 하고 있는데 이 둥근 모습과 잎맥이 마치 콩팥을 연상케 하여 이름 붙여진 것으로 해석하고 있습니다. 제주도에 내려와 숲속을 거닐다 보니 매화노루발과 노루발이 지금 한창이었는데 이 콩팥노루발도 같은 시기인 6~7월에 꽃이 피어납니다. 근연종인 노루발과 매화노루발의 비교표를 만들어 보았습니다. 가장 큰 특징은 잎이 다르고 꽃차례가 다른 점입니다. 콩팥노루발은 개체수가 많았지만 꽃대를 밀어 올려 꽃을 피운 개체는 많지 않고 드문드문 꽃이 핀 콩팥노루.. 2022. 6. 16. 수정처럼 곱게 피어난~ 수정란풀 수정난풀 < Monotropa uniflora L. > -노루발과- 식물은 광합성을 통해 양분을 만들어내는 것이 일반적인 모습인데, 어떤 식물들은 스스로 양분을 만들어내지 못하여 다른 식물에 기생하기도 하고 썩은 낙엽이나 동물의 사체에서 양분을 흡수하기도 합니다. 이런 식물들을 부생식물이라고 .. 2019. 9. 17. 수정처럼 피어나는~ 수정난풀 수정난풀 < Monotropa uniflora L. > -노루발과- 식물은 광합성을 통해 양분을 만들어내는 것이 일반적인 모습인데, 어떤 식물들은 스스로 양분을 만들어내지 못하여 다른 식물에 기생하기도 하고 썩은 낙엽이나 동물의 사체에서 양분을 흡수하기도 합니다. 이런 식물들을 부생식물이라고 .. 2018. 8. 29. 숲속의 노루발 노루발 <Pyrola japonica Klenze> -노루발과- 6~7월에 피어나는 노루발입니다. '노루발풀'이라고도 하지요. 노루발이 꽃을 곱게 피어 저 좀 바라봐 달라고 아우성입니다. 노루발의 이명으로 '녹제초'(鹿蹄草)라고 하는데,녹제는 노루나 사슴의 발굽을 가리키는 단어로, 꽃이 지고 나서 열매에 .. 2018. 6. 20. 엽록소가 없다는 부생식물 구상난풀~ 구상난풀 <Monotropa hypopithys L. > -노루발과- 오늘은 엽록소가 없는 부생식물인 구상난풀을 만나 보겠습니다. 제주도의 구상나무 군락 등지에서 발견되어 명명되었다고 하지요.그렇다고 제주에만 있는 식물은 아니지요. 꽃은 종 모양으로 아래를 향해 달리며 수술은 8개, 암술은 적갈색.. 2017. 7. 31. 이전 1 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