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여행,식물,풍경/식물나라1364

수련 수련 <water lily> -수련과- 연못 여기저기에서 수련꽃이 소담하게 피어납니다.수련을 한자로 쓰면,수련은 水蓮이 아니라 睡蓮(수련)으로 쓰는데 이는 아침 햇빛과 함꼐 피고 저녁노을에 잠이 든다고 하여 한자로 잠잘 수 자를 씁니다.일본어로는 미초라고 하는데 이는 미시(오후 1시-3시.. 2013. 6. 6.
좀씀바귀 좀씀바귀 <Ixeris stolonifera A. Gray> -국화과- 씀바귀의 종류도 엄청 많지요. 구별하기도 쉽지 않구요. 그러나 흔히 볼 수 있는 이 좀씀바귀는 잎이 동글동글하고, 그 크기가 작아 그나마 구별하기가 쉬운 아이랍니다.노란 꽃망울을 달고 무리지어 있는 좀씀바귀를 만나 봅니다. 꽃말은 "평.. 2013. 6. 5.
눈개승마 눈개승마 <goatsbeard> -장미과- 일명 "삼나물""고기나물"이라 불리는 눈개승마가 꽃을 피웠습니다. 하얀꽃은 점차 누런색으로 변색이 되지요. 고소득작물로 요즘은 많이 재배한다고 하네요. 인삼잎을 닮았다고 하여 삼나물,그리고 일설에는 소고기와 인삼,드릅의 세가지 맛이 난다고 하.. 2013. 6. 4.
토끼풀 토끼풀 <clover> -콩과- 어릴적 이 토끼풀로 반지도 만들고 목걸이도 만들어 놀던 토끼풀입니다. 아이들이 가장 친근했던 토끼풀을 담아 보았습니다. 1950년대 가축의 사료로 들여와 강한 번식력으로 인하여 이곳저곳 퍼지게 되었다고 하는 이 토끼풀은, 이름의 유래에 대해서는 그냥 토.. 2013. 6. 3.
장구채 장구채 <Melandryum firmum> -석죽과- 꽃이 핀 모습이 마치 '장구채'를 닮았다고 하여 명명되어진 이 장구채는 종류도 여럿 되는데요. 석죽과의 장구채속에 제주에서 흔히 볼 수 있는 양장구채와 바닷가에서 만날 수 있는 갯장구채,분홍장구채를 비롯하여,가는다리,가는,울릉,오랑캐,털,층.. 2013. 5. 31.
노랑꽃창포 노랑꽃창포 < Iris pseudoacorus L> -붓꽃과- 우리나라에서 옛부터 여인들이 머리감기에 애용했던 창포와 잎이나 생태는 같지만, 녹색의 부들 같은 형태의 꽃이 아닌, 붓꽃 모양의 화려한 꽃을 피우는 데서 '꽃창포'라는 이름이 붙었고 노랑색이므로 '노랑꽃창포'라고 이름지어 졌습니다.원.. 2013. 5. 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