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쪽지방에서 자라는 사계절 늘푸른 나무인 이 자금우는 열매가 붉은 구슬모양이라 "천량금"이라불리기도 하며, 한방에서 말린 뿌리를 자금우라 하여 해독과 이뇨제로 쓰며 생약명 그대로 나무이름이 되었다고 하지요.나무 같지 않은 작은 모습으로 지면에 엎드려 생활을 하는 탓에 풀숲에서 그냥 지나칠 수 있으나 의외로 역사가 깊은 나무라고 합니다. 중국 명대 ‘본초강목’에 약용식물로 자금우가 당당히 적혀 있답니다.
I have
"350년 전 일본 도쿠가와 막부 시대에 특히 꽃을 좋아하는 2대 히데다다(秀忠)와 3대 이에미쓰(家光)에게
진기한 식물을 경쟁적으로 헌상했을 때 자금우를 투기하여 가격폭등이 일어난 적이 있으며
메이지 시대에 와서 투기가 되풀이되어 심한 가격폭등을 일으킨 나무이기도 하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