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여행,식물,풍경/제주올레길

제주올레 6코스(쇠소깍-외돌개)

by 코시롱 2009. 2. 23.

올레 6코스를 갑니다.

 

 

쇠소깍을 출발하여 서귀포 시내를 통과, 이중섭거리와 천지연폭포 위 산책로를 거쳐 외돌개까지 이어지는 해안-도심복합올레다.

해안가의 정취를 느낄수 있는 소금막과 삶과 문화가 숨쉬는 서귀포 시내를 통과하여 난대림과 천연기념물 5종이 서식하는 천지연폭포 위 산책로를

 통과하는 누구나 힘 들이지 않고 걸을 수 있는 문화-생태올레이기도 하다.

<출처:제주올레 홈피>

코스 경로(총 14.4Km, 4시간30분~5시간)

쇠소깍 -> 소금막(756m) -> 제지기오름(2.34Km) -> 보목항구 ->구두미포구(3.95Km) -> 서귀포 보목하수처리장(5.06Km) -> 서귀포KAL호텔 (6.82Km) -> 파라다이스호텔(7.92Km) -> 소정방폭포/소라의 성(8.17Km) -> 서귀포초등학교 (10.2Km) -> 이중섭 화백 거주지 (10.6Km) -> 천지연폭포 생태공원(11Km) -> 남성리 마을회관 앞 공원(12.2Km) -> 남성리 삼거리(13.6Km) -> 찻집 솔빛바다 (14.4Km)

 쇠소깍의 모습입니다.

 

 

서귀포 70경 중 하나인 쇠소깍은 그 명칭의 유래에 대해 여러가지 설이 있는데 쇠는 소(牛)를 뜻하고 소는 연못을, 깍은 끝을 의미한다.

 한라산을 베개 삼아 소가 누운 끝자락이라는 뜻을 가지고 있다고 합니다.

 

이제 쇠소깍을 지나 소금막을 지나고 제지기 오름 올라가서 보목포구로 이어집니다.

보목포구에서 바라본 보목항구와 숲(섶)섬의 모습입니다.

 

 

여기서 숲섬의 전설을 보면,

숲섬(섶섬)에 살던 큰뱀은 숲섬과 지귀도 사이에 있는 바다 속에서 구슬을 찾으면 용이 될 수 있다는 신선의 말에 바다 속을 100년이나 뒤졌으나

찾지 못하고 죽었다고 하여, 이후 비만 오면 안개가 끼는데 죽은 뱀의 혼이 서리는 것이라고 전한다고 합니다.

다시 구두미 포구를 지나 서귀포 보목 하수 종말 처리장을 지나 가는데요.

종말 처리장 안으로 들어가 해안가로 나오게 되어 있습니다.

 

여기는 해안가에 있는 석궁장의 모습입니다.

아마 해안가에 위치한 것으로는 유일하지 않을까 개인적인 생각을 하며...이제 서귀포  KAL호텔을 지나갑니다.

 

이 곳을 지나 소정방에 이르는데요.

소정방 폭포의 아름다운 모습에 절로 감탄을 하게 됩니다.

 

 

 마치 병풍그림을 그린 듯 펼쳐지는 풍광이

너무나 아릅답습니다.

이제  정방폭포 주차장으로 빠져나와 서복전시관을 통과합니다.

**서복 전시관

서귀포에 전해 내려오는 서불(徐福)

정방폭포 암벽에 서불과지라는 마애명으로 비롯된 것으로 진시황의 사자인 "서불"이 시황제의 불로장생을 위하여

불로초를 구하기 위해 동남동녀 오백명(혹은 삼천명)과 함꼐 대선단을 이끌고 불로초가 있다는

삼신산의 하나인 영주산(한라산)에 올라 영주산의 제일경인 정방폭포에 닻을 내린 서불은 불로초를 구한 후

서쪽으로 돌아갔는데 서불이 돌아가면서 "서불과지"라는 글자를 써 놓았다고 합니다. 하여 서귀포라는 지명도

여기에서 유래한다는 이야기가 있습니다.

 

 이 서복전시관을 지나 칠십리 길 테마사진 공원을 지나

이중섭 거리로 향합니다.

이전에 몇 번 온 적이 있는데 이중섭 생가에 사시는 할머니! 오랫만에 뵙습니다.

 

이제 서귀포시에서 천지연 생태공원을 지나갑니다.

멀리 천지연의 모습을 조망할 수 있고 한라산의 모습도 조망할 수 있습니다.

여기를 지나면 칠십리 시 공원을  만날 수 있는데요.

 

이 공원에 매화가 곱게 피어 있습니다.

 

 

 이 곳을 지나 6코스 종점인 솔빛바다 찻집이 이릅니다.

외돌개의 모습과 함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