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 꼬리풀 종류3 우리나라 특산식물인~ 봉래꼬리풀 봉래꼬리풀 Pseudolysimachion kiusianum var. diamantiacum (Nakai)>-현삼과- 오늘은 봉래꼬리풀이라는 식물로 하루를 열어 보겠습니다.멀리 보이는 울산바위를 지붕삼아 피어 있는 봉래꼬리풀~강원도에서 자라는 북방계 식물인 이 봉래꼬리풀은 국내에만 자생하는 우리나라의 특산식물입니다. 현삼과의 꼬리풀 종류에는 우리나라에서 20여종 정도가 자라고 있는데,이 속의 식물은 꽃이 줄기 끝에 총상꽃차례로 피는 특징을 가지고 있는데 현삼과의 개불알풀속로 분류되는 아이입니다.금강산에서 발견되어 금강산의 옛이름인 봉래를 붙여 봉래꼬리풀이라는 이름을 얻었습니다. 탁 트인 넓은 좋은 곳에 터를 잡고 살아가고 있는 봉래꼬리풀입니다.바람이 불어 오는 시원한 곳에 집을 마련한 모.. 2024. 9. 26. 숲속의 산꼬리풀 산꼬리풀 Pseudolysimachion rotundum (Nakai) Holub var. subintegrum (Nakai) T.Yamaz.>-현삼과- 어제의 전주물꼬리풀에 이어 육지 출사를 가서 만났던 산꼬리풀과 제주의 큰산꼬리풀을 비교하여 만나 보겠습니다.어제의 전주물꼬리풀은 꿀풀과이지만 꼬리풀 종류들은 현삼과의 식물입니다. 산꼬리풀의 높이는 40~80cm 정도이고 가지가 거의 없으며 굽은 털이 산생한다고 설명하고 있습니다. 잎자루가 거의 없는 잎은 마주나고 꽃은 벽자색이라고 설명하고 있는데 검색해 보니 벽자색은 다른 말로 자주색이라고 합니다. 꼬리풀은 아직 만나지 못하였지만 꼬리풀의 잎과 산꼬리풀의 잎은 다르게 생겨 구별이 가능할 것 같습니다. 반면, 제주에서 자라는 큰산꼬리.. 2024. 9. 25. 울산바위를 지붕삼아 피어있는 봉래꼬리풀~ 봉래꼬리풀 < Pseudolysimachion kiusianum var. diamantiacum (Nakai)> -현삼과- 오늘은 봉래꼬리풀이라는 식물로 하루를 열어 보겠습니다. 멀리 보이는 울산바위를 지붕삼아 피어 있는 봉래꼬리풀~ 강원도에서 자라는 북방계 식물인 이 봉래꼬리풀은 국내에만 자생하는 우리나라의 특산식물입니다.. 2017. 9. 4.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