꼬리풀3 우리나라 특산식물인~ 봉래꼬리풀 봉래꼬리풀 Pseudolysimachion kiusianum var. diamantiacum (Nakai)>-현삼과- 오늘은 봉래꼬리풀이라는 식물로 하루를 열어 보겠습니다.멀리 보이는 울산바위를 지붕삼아 피어 있는 봉래꼬리풀~강원도에서 자라는 북방계 식물인 이 봉래꼬리풀은 국내에만 자생하는 우리나라의 특산식물입니다. 현삼과의 꼬리풀 종류에는 우리나라에서 20여종 정도가 자라고 있는데,이 속의 식물은 꽃이 줄기 끝에 총상꽃차례로 피는 특징을 가지고 있는데 현삼과의 개불알풀속로 분류되는 아이입니다.금강산에서 발견되어 금강산의 옛이름인 봉래를 붙여 봉래꼬리풀이라는 이름을 얻었습니다. 탁 트인 넓은 좋은 곳에 터를 잡고 살아가고 있는 봉래꼬리풀입니다.바람이 불어 오는 시원한 곳에 집을 마련한 모.. 2024. 9. 26. 여름날 습지의 전주물꼬리풀 전주물꼬리풀 Dysophylla yatabeana Makino>-꿀풀과- 무더운 여름날 꽃을 피우는 전주물꼬리풀이라는 식물을 소개해 드립니다.1912년에 전주에서 채집되어 1969년 전주의 지명을 따라 명명된 이 식물은전주에서는 사라졌다가 2013년 국립생물자원관에서 인공증식을 한 후 전주시 송천동 오송제로이식하여 분포지를 형성하였고 제주에서는 많지는 않지만 여러 습지에서 만날 수 있는 식물입니다. 환경부가 멸종위기식물 2급으로 지정한 이 식물은 밑부분이 옆으로 뻗으면서 지하뿌리가 발달되어 있습니다.보통 8월 초부터 피기 시작하여 여름의 더위가 가실때까지 원기둥 모양의 꽃차례에 이삭처럼 꽃을 피우는 식물입니다. 꼬리풀이란 이름을 가진 야생화가 20여종이나 된다고 알려 있습니다.꼬리풀을 .. 2024. 9. 24. 연보랏빛으로 수놓는 전주물꼬리풀~ 전주물꼬리풀 <Dysophylla yatabeana Makino> -꿀풀과- 이번주는 수생식물을 만나보고 있습니다.오늘은 멸종위기식물로 지정된 전주물꼬리풀을 만나 보겠습니다. 1912년에 전주에서 채집되어 1969년 전주의 지명을 따라 명명된 이 식물은 전주에서는 사라졌다가 2013년에 다시 복원하였다는 뉴.. 2017. 9. 20.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