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여행,식물,풍경/식물나라

천남성의 종류

by 코시롱 2009. 6. 6.

천남성을 만나 보겠습니다.

천남성(Arisaema amurense var. serratum Nakai)
전국의 산 숲 속에 흔하게 자라는 여러해살이풀 천남성은
주로 산지의 응달에서 볼 수가 있습니다.
구경은 조금 납작한 구형으로 지름 2~4cm이고
주위에 작은 구경이 2~3개 달리며,
위쪽에서 수염뿌리가 나와 그 주위에 사방으로 퍼집니다.

1.천남성

 

줄기는 높이 약 30~50cm이고 녹색과 자색의
무뉘가 있습니다.
잎은 줄기에 1장이 달려 5~11갈래로 갈라지며, 갈래는
난상피침형 또는 긴 타원형으로 길이 10~20cm이고,
가장자리가 거의 밋밋하거나 얕은 톱니를 가지고 있습니다.

 

 

꽃은 4월 중순부터 6월 초순에 육수화서(꽃차례)를 이루며
불염포는 녹색이며 위쪽은 통부보다 길고
앞으로 구부러지고 긴 타원형입니다.
꽃차례의 연장부는 곤봉 모양으로 불염포의 통부보다 깁니다.

 

 

열매는 장과이며 빨간색으로 익고
옥수수알 모양으로 모여 달립니다.

 

 

천남성 알줄기는 거담·진경·소종·거풍 등의 효능이 있어
중풍·반신불수·상풍·종기 등 약용에 사용되나
유독성 식물이므로 한의사가 아닌 일반인들은 사용은
절대로 삼가해야 합니다.

 

 2.다음은 큰 천남성입니다.

 

 

산골짜기나 숲속에서 자란다. 알줄기는 납작한 공 모양이고 위에서 뿌리가 내리며 작은 알줄기가 달린다. 잎은 연한 녹색으로서 잎나주가 있으며, 2개씩 뿌리에서 나와 얼싸안고 줄기 비슷해지며 3장의 작은잎으로 된다.

 

 

꽃은 암수딴그루로서 5∼7월에 피며 커다란 불염포 안에 육수꽃차례가 자란다. 포는 짙은 자주색 또는 연한 녹색이고 윗부분은 주머니같이 되며 끝은 짧은 꼬리처럼 길어진다. 열매는 장과로서 옥수수처럼 꽃이삭축에 달리며 8∼9월에 붉게 익는다.

 

 3.둥근잎 천남성 (그 이전에는 넓은 잎 천남성이라 했다고 합니다.)

다음 사진은 풀꽃나라의 굴참나무님의 사진을 인용했습니다.

잎이 넓고 꽃의 불염포에 있는 흰색줄무늬가 뚜렷한것이 특징이라고 합니다.

 

잎은 1∼2개로 잎자루는 길이 10∼25cm이며 5개의 작은 잎으로 갈라진다. 작은잎은 긴 타원 모양이거나 달걀 모양이며 길이 10∼19cm, 나비 3∼10cm이다. 가장자리에는 톱니가 없고 가운데잎에만 작은 잎자루가 있다.

 

 

꽃은 5∼6월에 피는데, 육수꽃차례로 달리며 녹색의 불염포()에 싸여 있다. 불염포의 통부분은 길이 4.5∼6cm로서 양끝이 밖으로 젖혀지고 앞부분은 타원 모양이며 끝이 뾰족하고 앞으로 휜다.

 

 

열매는 장과로서 옥수수처럼 달리며 붉은빛으로 익는다. 유독식물이지만 알뿌리를 중풍·구충 등에 치료제로 쓴다. 한국·일본·사할린에 분포한다.

 

 

 

 

 4.두루미천남성

꽃은 2가화()로 5∼6월에 피며 육수꽃차례[]를 이루는데 잎보다 길게 나온다. 불염포()는 녹색에

자줏빛을 띠며 통부()의 길이는 6cm 정도이다. 꽃대 상부가 곤봉 모양이나 회초리 모양으로 발달하는 것도 있다. 

 

수꽃이삭은 많고 작은 수꽃이 붙어 있으며, 암꽃이삭은 여러 개의 작은 씨방으로 된 암꽃이 모여 있다. 열매는 장과(漿)로 꽃대에 긴 타원형으로 모여 붙어 빨갛게 익는다. 알줄기는 독성이 강하며 약으로 쓴다. 제주도·경기도·평안북도·일본·대만·만주 등지에 분포한다.

 

 

 

수꽃이삭은 많고 작은 수꽃이 붙어 있으며, 암꽃이삭은 여러 개의 작은 씨방으로 된 암꽃이 모여 있다.

열매는 장과(漿)로 꽃대에 긴 타원형으로 모여 붙어 빨갛게 익는다.

 

 

 

'여행,식물,풍경 > 식물나라' 카테고리의 다른 글

오리새  (0) 2009.06.10
꽃바지  (0) 2009.06.07
백량금  (0) 2009.06.05
선인장  (0) 2009.06.05
산골무꽃  (0) 2009.06.03